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스페셜
"
학술
"(으)로 총 3,6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앓는 운전자, 졸음운전 사고 예방 방안은?
동아사이언스
l
2022.03.16
폐쇄수면무호흡을 가진 운전자가 낮동안 지나치게 잠이 오는 과다주간졸림이나 코골이, 피로감 같은 수면장애 있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졸음운전 위험이 높다는 ... 바란다"고 밝혔다. 이 제안은 지난해 12월 대한수면연구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
지 '수면의학저널'에 실렸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합리적인 에너지 전환이 필요하다
2022.03.16
물이 지하의 단층대를 활성화시켜서 지진을 유발시켰다는 결론은 ‘사이언스’에도
학술
논문으로 발표됐다. 지열발전소가 지진을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은 2008년 환경부의 용역보고서에도 지적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조수간만의 차이가 대단히 큰 서해안에서의 조력발전도 만만치 않다. ... ...
북극 바다밑서 6층 건물 규모 구멍 등 싱크홀 41개 발견…'느린 기후변화' 원인 추정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북극 해저 지형 탐사를 해 최대 깊이 28m, 폭 95m, 길이 225m의 싱크홀을 발견했다고 국제
학술
지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15일 보고했다. 연구팀은 이 기간 동안 북극 해저 26㎢ 면적에 원격조종 수중 수심측정장치를 투입해 해저지형을 관측했다. 그 결과 6층 건물 크기의 싱크홀 포함해 원형 또는 ... ...
어린이가 코로나19 경증 앓고 백신 효과 떨어지는 이유 '낮은 혈청전환율'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성인의 혈청전환율 76.2%였지만 어린이는 37%에 불과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 9일 의학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네트워크 오픈'에 공개됐다. 연구팀은 동일한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됐더라도 어린이와 성인의 면역계가 서로 다르게 반응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성인은 새로운 바이러스에 ... ...
[과기원은지금]DGIST, 한천 이용해 친환경 해수담수화 소재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김성균 DGIST 화학물리학과 교수(오른쪽)와 임홍섭 석사과정 연구원이 자연 소재인 한천과 나노셀룰로오스를 이용해 친환경 해수담수화 소재 ... 합성했다. 기존 제조 공법은 600도의 고온에서도 수율이 80% 수준이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앙게반테케미 국제판’ 지난달 23일에 게재됐다 ... ...
"mRNA백신 맞은 엄마 젖에 코로나19 항체 더 많아"
동아사이언스
l
2022.03.15
요하네스 반구도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 의대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
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소아과’에 15일 공개했다. 항체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감염됐을 때 이에 대항해 중화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감염경험이나 백신 접종을 통해 항체가 생성된다. ... ...
코로나19 사망자 공식집계보다 3배 더 많아…한국도 4630명 더 사망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12월 31일까지 2년간 전세계 191개국의 초과사망률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지난 10일 국제
학술
지 '랜싯'에 공개했다. ○초과사망률 최고는 볼리비아, 한국은 4.4명으로 낮은 편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초과사망률이란 오랫동안 통상적으로 발생해왔던 수준을 넘어 ... ...
코로나19 바이러스 두 표적 동시 공략하는 백신 첫 임상서 항체 형성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항원으로 삼는 백신 후보물질 ‘COH04S1’의 임상 1상 결과에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국제
학술
지 ‘랜싯 미생물학’에 10일 공개했다. 지금까지 각국에서 허가를 받은 코로나19 백신은 100%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표적으로 삼고 있다. 문제는 델타나 오미크론 변이처럼 스파이크 ... ...
가로 방향 늘렸더니 세로 방향도 늘어난다…기계연, 신축성 디스플레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4
디스플레이 제조에 메타물질을 적용한 것은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선진 기능성재료(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지난 2월 15일자에 게재됐다. 기존에 신축성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긴 했지만, 신축성을 지니기 위해 주로 고무가 사용됐다. 고무와 같이 자연계의 신축성이 ... ...
끈적이는 홍합 단백질 모방해 해수전지 성능 4배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3.13
UNIST 연구팀이 홍합의 뛰어난 수중 접착력을 모방한 해수전지용 바인더 물질을 개발해 전지 전극 성능을 크게 개선했-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홍 ... 배터리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연구결과는 이달 7일 에너지·재료 분야 국제
학술
지 ‘재료화학 저널 A’에 실렸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