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스페셜
"
병
"(으)로 총 804건 검색되었습니다.
[웹툰]무서운 EtBr
KOITA
l
2013.05.08
조심스런 말투로 “어 테이블에 물기가 있네. 라고 말하자마자 테이블을 보니 EtBr
병
이 쏟아져 있었습니다. 네 바로 발암물질이자 기피대상 1호인 EtBr이 쏟아진 겁니다. 그리고 EtBr이라는 글자를 보자마자 갑자기 형이 광분하기 시작했습니다. “어느 xx가 여기에 EtBr 둔거야 에이시, 뭐여” ... ...
인간이 불안한 이유, 빛으로 찾아내다
KISTI
l
2013.05.02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이렇듯 광유전학 기술은 불안장애뿐 아니라 수면장애, 파킨슨
병
등의 치료제 개발에도 새로운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글 : 이성규 ... ...
적자생존 NO!! 이제 낙(樂)자생존~
KISTI
l
2013.05.02
endorphin) 같은 스트레스 감소 물질의 분비가 촉진돼 면역력이 강해지고 어지간한
병
은 거뜬히 이겨낼 수 있게 되지.동물들은 그걸 본능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에 더 건강하게 살아남기 위해 즐거움을 느끼려고 노력한다는구나. 즐거움이야말로 진화와 생존을 위한 최고의 원동력이라는 거야.” “와,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의국장 2003년 3월~현재 성균관대 의대 성형외과학교실 교수 2007년 9월~현재 삼성서울
병
원 성형외과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향후 생명공학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자료로 활용됩니다. ※ 무단 전제, 재배포를 금지하며 ... ...
“유전체 연구분야 국가위상 높여야…통합조정기관 설립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유전적 특이성을 분석해 낸다면 신약 개발에 유용하게 쓸 수 있어요. 궁극적으로 질
병
을 예방하고 치료해 국민 개개인의 건강을 증진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 바이오 분야에서 ‘선택과 집중’ 필요해 미국과 일본 등 외국에서 오랜 연구생활을 해 온 김 원장은 국내 생명공학의 위상이 ... ...
‘오메가3’ 먹어야 하는 이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많이 분비된다. 랜디 실리 교수는 “호르몬의 관점으로 식품을 보면 건강을 증진하거나
병
을 치료하기 위한 권장 식단을 설계할 때 큰 영감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즉 단순히 영양 밸런스가 맞는 메뉴가 아니라 대사질환과 관련된 신호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식단을 디자인할 수 있다는 것. ... ...
약도 재활용한다고? 괜찮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기대에 못 미쳐 탈락하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최근 생명과학의 눈부신 발전으로 많은 질
병
의 메커니즘이 밝혀지면서 아까운 탈락자들 가운데서 ‘흙속의 진주’를 발견할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 문득 능력을 100% 발휘할 수 있는 적재적소를 찾지 못해 인정받지 못하고 묻히는 건 사물이나 사람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로 인한 질
병
위험성에 대한 규명이다. 모르면 몰라도 앞으로 10년 쯤 지나면 “그
병
이 장내미생물과 무슨 관계가 있지?”라고 의아해할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치료제 또는 예방약으로 쓰이고 특정 장내미생물이 잘 자라게 해주는 영양분(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라고 부른다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 기술은 결맞음회절이미징(CDI)으로 불리는데 연구가 한창이라고 한다. 지난해 파킨슨
병
증세가 나타난 이후에도 세이어는 연구에 계속 참여하며 자문을 해왔다고 한다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상태다(A타입인지 B타입인지 D타입인지). 밀 게놈 완전 해독은 아직 갈 길이 멀다. 인류는
병
과 식물들을 작물화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정착했고 문명을 꽃피웠다. 대표적인 벼과 식물의 개통수에 밀의 작물화 역사를 재구성해 봤다. 오늘날 밀(밀빵)이 꽤 복잡한 과정을 통해 탄생했음을 아수 있다. -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