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논박
반론
반박
논쟁
쟁론
공박
말다툼
스페셜
"
논란
"(으)로 총 81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볼라 바이러스, 합리적인 경계가 필요하다!
KISTI
l
2014.09.01
대학교의 과학자들이 에볼라 바이러스가 조류 바이러스와 더 가까운 관계라고 주장하며
논란
이 벌어지기도 했다. 아직 바이러스의 자연 숙주가 완전히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서아프리카 지역에 서식하는 과일 박쥐가 가장 유력한 자연 숙주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아니 뭐 하세요?” “아 예. 그냥…” “어머, 마음이 약하신가봐. 호호” 회를 먹으러 가다보면 가끔 회를 뜬 물고기 뼈 위에 살점을 얹어 내놓는 집이 있다. 그런데 물고기가 아직 살아있어 입을 뻐끔뻐끔한다. 아마 주방장의 회 뜨는 솜씨를 자랑하거나 물이 좋다는 걸 보여주려고 그러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해석했다. 그리고 2007년 다른 실험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얻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논란
이 분분하다. 드물게라도 상호작용을 하는 기존 세 가지 뉴트리노와는 달리 불임 뉴트리노는 중력을 뺀 다른 힘들에는 해당하지 않는 입자이기 때문에 그 존재를 규명하기가 난망하다. 그래서 미국 ... ...
젖가슴에 대한 과학적 고찰
2014.05.13
한다. 그런데 기사는 이런 관행이 과연 적절한 것인가라고 묻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논란
이 되고 있는 갑상샘암 환자 급증과 수술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논쟁과 비슷한 내용이다. 즉 검사가 정교해지면서 예전에는 알아차리지도 못했던 작은 종양들이 발견되면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할 ... ...
수족관 안의 돌고래가 위험하다
KISTI
l
2014.04.17
수출하는 곳으로 매년 2만3,000여 마리의 돌고래가 포획 과정에서 희생돼 ‘핏빛 학살’
논란
의 중심에 서 있다. 하지만 거제 씨월드는 이곳에서 큰돌고래 12마리를 올해 추가로 들여온다는 계획이다. 동물자유연대 이형주 팀장은 “유럽 등 돌고래의 수족관 전시를 금지하는 국가가 늘자 동물복지 ... ...
호모 하빌리스, 당신은 누구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4.04.14
960년 탄자니아에서 첫 화석 발견 글 맨 앞의 인용구처럼 호모 하빌리스는 태생부터
논란
의 한 가운데 있었다. 1959년 아내 메리 리키와 함께 탄자니아 올두바이에서 동아프리카 최초의 호미니드 화석을 발견해 일약 스타덤에 오른 케냐 태생의 영국 고생물학자 루이스 리키는 여세를 몰아 깜짝 ... ...
[채널A] 日 ‘만능세포’ 조작
논란
…‘일본판 황우석’ 사태로 번지나
채널A
l
2014.03.12
제기됐습니다. 줄기세포 연구자 10명 중 9명이 만능세포 재현에 실패했다는 사실도
논란
을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이화학연구소는 진상조사에 착수했습니다. [전화인터뷰 :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 네이처에서 논문을 심사할 때 독창성, 논리성 등을 보지만 재현성 여부를 확인하기는 좀 어렵습니다. ... ...
황우석을 바라보는 두 시선
동아사이언스
l
2014.01.27
방영됐다. 설상가상으로 브릭(BRIC)에 논문 데이터 조작을 의심하는 글이 올라오면서
논란
은 난자 제공 불법성 여부에서 연구 자체의 진실성 여부로 급변했고 급기야 서울대에서 자체 조사에 들어갔다. 논문만은 진실이기를 염원했던 국민들은 2006년 1월 10일 서울대 조사단의 발표에 경악했고 이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
동아사이언스
l
2013.12.26
칼과 하우프트먼은 1985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는데 정작 세이어는 수상하지 못해 당시
논란
이 되기도 했다(과학카페 107(1) 참조). 칼은 해군연구소의 물질구조실험실을 이끌며 결정학 외에도 양자화학, 유리질과 비결정물질 등 여러 분야에 손을 댔다. ‘네이처’에 부고를 쓴 웨인 헨드릭슨 ... ...
"어려움이 있더라도 늘 무언가는 배울 수 있는 직업이 과학자죠"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10.10
견뎌내기 쉽지 않았을 것입니다. Q.조금 민감한 질문입니다만, 국내 연구비 지원에 대한
논란
이 있었습니다. IBS 단장으로서 연구비 운영에 대한 철학이 있다면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사실 연구비는 연구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문제입니다. 연구활동을 하려면 시약이나 기자재, 연구하는 사람들의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