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90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좋은 망원경은 맨눈으로 보기, 그래도 부족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5.10.19
마세요. 맨눈으로도 충분히 천체를 관측할 수 있습니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수많은
천문학
자들은 맨눈으로 천체를 관측했거든요. 케플러가 행성의 타원 궤도를 증명할 수 있었던 것도 스승인 티코 브라헤의 어마어마한 관측 자료가 있었던 덕분이었지요. 한 때는 유럽에서 가장 큰 천문대를 ... ...
[특집] 韓中日 달탐사 경쟁 심화… “먼 옛날 달은 ‘동생’이 있었다는데”
2015.09.19
회색으로 잘 나타나 있다.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달 지도. - 위키피디아 제공 당시
천문학
자들은 파인 부분에 물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따라서 이 부분을 크기에 따라 ‘바다’나 ‘대양’으로 불렀다. 이는 달이 생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은 무렵 표면이 아직 굳지 않고 걸쭉하게 녹은 ... ...
[사이언스 브리핑] ‘대한민국 별 축제’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5.09.18
이번 행사는 김담이 태어난 지 600년이 되는 2016년을 기념해 그의 업적과 조선시대
천문학
을 재조명하기 위해 마련했다. 김담의 후손이기도 한 김제완 서울대 물리학과 명예교수 등 전문가 6명이 케플러와 조선의 1604년 초신성 관측 비교 등 주제발표를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home.kias.re.kr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결과일 것이다. 1971년 미국의 리처드 닉슨 대통령은 ‘암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천문학
적인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약속했다. 실제로 지난 40년 동안 미국에서 암 연구에 들인 돈은 무려 900억 달러(약 100조 원)에 이른다. 덕분에 암의 실체가 상당히 밝혀졌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암이 두려운 ... ...
과학은 정말 객관적일까
2015.09.06
■언던 사이언스(현재환 作, 뜨인돌 刊) 뜨인돌 제공 ‘과학청부론’이란 말이 있다. 과학적 전문지식을 가진 사람들이 권력이나 자본, ... 우주망원경 사진도 수록했다. 우리가 알아야 할 우주의 모든 것을 쉽게 읽을 수 있어
천문학
에 관심이 깊은 일반인과 중·고교 학생들에게 권한다. ... ...
PART 0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15.08.27
러시아 면적과 유사하다. 이중 ‘하트’ 모양의 얼음 지형(NASA는 명왕성을 처음 발견한
천문학
자 이름을 따 이 지역을 ‘톰보 영역’이라고 부른다)의 폭은 2000km이다. 명왕성의 하트 지형은 태양 빛을 반사해 명왕성을 더 밝게 보이게 한다. 현재는 궤도상 명왕성과 태양이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 ...
사람의 폭력성은 진화의 산물일까
2015.08.09
시간에 폭발해 우주가 점점 팽창하고 있다는 빅뱅 모델이 나왔다. 원자핵물리학과 전파
천문학
이 발전하며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게 돼 이 모델을 뒷받침할 수 있었다. 이렇듯 빅뱅 이론은 고대 그리스부터 품어온 의문을 해결하려는 결론에서 나왔다. 저자는 빅뱅이론을 통해 과학이 완벽하지는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
동아사이언스
l
2015.07.29
공의 속도까지 파악할 수 있다. 보통 이런 레이더 기술은 군사용으로 사용되거나,
천문학
이나 기상분야에서 많이 이용됐다. 트랙맨은 별이나 미사일, 비행기보다 훨씬 가까운 거리에서 움직이는 지름 약 7cm 야구공의 속도 변화를 알아낸다. 이를 위해 사람이 공을 가릴 때 생기는 노이즈나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정확히 9개월 만의 일이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과 구소련이 우주개발 경쟁에
천문학
적인 돈을 쏟아 부었다면 지금은 뇌로 그 대상이 옮겨갔다. 인간의 뇌를 정복하는 나라가 향후 세계 경제의 패권을 거머쥘 수 있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한양대 생체공학과 교수인 저자는 뇌공학 연구의 ... ...
우리 은하 밖, 목성의 ‘도플갱어’ 발견
2015.07.16
통해 이 천체가 목성의 쌍둥이인지 정보를 더 얻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and Astrophysics)’에 발표될 예정이다.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