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창조"(으)로 총 1,55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독]‘어나니머스’에 새나간 미래부 ID동아일보 l2015.12.28
- 단체 어나니머스(Anonymous)가 아시아태평양전기통신협의체(APT) 홈페이지를 해킹한 후 미래창조과학부 관계자의 접속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공개했다. 보안업계에서는 공개된 ID와 비밀번호를 통해 해커들이 정부 전산망에 침투했을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고 있다. 특히 어나니머스가 이번 해킹 직후 ... ...
- “20년 전 해령 연구 꿈, 아라온으로 이뤘죠”2015.12.24
- 수상한 박문정 교수(왼쪽에서 두번째)와 이홍금 책임연구원(왼쪽에서 4번째), 박재문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개발정책실장(왼쪽에서 5번째), 정민근 한국연구재단 이사장(왼쪽에서 6번쨰), 김두희 동아사이언스 대표이사(왼쪽에서 7번째), 김성연 교수(왼쪽에서 8번째). 여성과학기술자상은 배우자에게도 ... ...
- 지멘스-오라클과 취업 협약… 글로벌 ‘융합 인재’ 양성동아일보 l2015.12.24
- 여건으로 상당 기간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지방 소도시 캠퍼스를 고부가가치 창조형 학과로 개편할 것”이라며 “지역산업과 연계를 꾀하고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성과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목포캠퍼스는 해양플랜드, 영주캠퍼스는 대형특장차량, 충주와 동부산캠퍼스는 일반계고 ... ...
- [대구/경북]“대구 창업지원 기관들 협력 기대에 못미친다”동아일보 l2015.12.23
- 시도 가운데 6위에 머물렀다. 게다가 2011년 18.1%, 2012년 17.3% 등 3년 연속 하락세다. 대구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벤처창업학교 대구테크노파크 등 전문기관과 경북대 계명대 등 창업육성기관, 대구은행 신용보증기금 등의 금융 지원까지 창업 기반이 비교적 잘 구축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
- [신나는 공부]한국과학창의재단, 소프트웨어 관리자과정 연수 개최동아일보 l2015.12.22
- 김승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에 숨을 불어넣는 메이커는 창조경제의 문화적 뿌리”라면서 “소프트웨어와 결합한 메이커 문화가 학교현장으로 널리 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돌봄교실’ 교사 대상 로봇활용 소프트웨어 교육도 이런 교원 대상 연수프로그램과 ... ...
-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에 이홍금, 김성연, 박문정 씨2015.12.22
- 교수(47), 박문정 포항공대 교수(38) 등 3명이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을 받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이 3명을 올해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연구원은 2007년부터 6년간 극지연구소 소장을 맡아 최근 ‘남극 산타’로 활약한 국내 최초 쇄빙선 ... ...
- 한국 과학기술혁신역량 OECD 국가 중 5위2015.12.20
- 과학기술혁신역량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0개국 중 5위에 올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실시한 ‘2015년도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 결과 한국이 지난해보다 2단계 상승한 5위를 차지했다고 20일 발표했다. 국가과학기술혁신역량 평가는 국가 간 비교를 통해 ... ...
- 日, 첨단 기초연구 산업화 시동…2020년 도쿄올림픽 목표2015.12.18
- 사업화 프로젝트가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은 2013년 ‘신산업 창조 프로젝트’를 시작해 2년 안에 연구 성과를 사업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지금까지 15개 사업단이 선정됐고, 2013년 1기로 선정된 사업단은 결실을 거뒀다. 경북대 사업단은 의료 현장에서 감염균을 ... ...
- ‘시장 1등’ 먹거리 ‘기술 1등’으로 지킨다2015.12.18
- 테스트베드 등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지원할 계획이다. 최종배 미래창조과학부 과학기술전략본부장은 “중국과 인도 등 신흥국이 추격 속도를 높이고 있고, 기술 선진국들은 신기술 개발이나 기술 고도화에 주력하고 있다”며 “우리나라가 기술력과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최고 ... ...
- 1m 거리 무선충전 기술 국내서 첫 개발2015.12.11
- 것으로 예측됐다. 정부도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7년부터 도서관이나 우체국 등 공공기관을 방문하는 시민들을 위해 자기유도방식의 무선 충전기를 설치하기로 했다. 2020년까지 세계 최고 수준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도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