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탄력
탄성
회복력
검댕
유연성
그을음
부드러움
뉴스
"
유연
"(으)로 총 1,205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심화재 예측하고 감염병 의심자 걸러낸다...다부처 R&D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선정됐다. 이 사업은 다양한 센서를 이용해 근력 등 신체기능을 강화·향상시키는
유연
한 착용로봇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방사청과 산업부, 과기정통부가 참여한다. 국방 분야에서는 병사들의 근지구력 향상을 통한 기동성 및 임무 지속성을 늘리고 민간 분야에서는 의료 재활 및 산업근로자 작업 ... ...
머리가 거꾸로 붙은 여자?
팝뉴스
l
2019.02.02
위에 있다. 머리가 뒤집혀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그런 일은 불가능하다. 아무리 목이
유연
하다고 해도 얼굴을 뒤집을 수는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사진을 조작한 것일까. 포토샵을 이용했다면 설명이 된다. 그런데 그것도 아니다. 화장 기술의 승리다. 잘 보면 눈 아래쪽에 코등이 있다. 얼굴을 ... ...
안정성 높고 잘 휘는 니켈 기반 투명 전극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및 열팽창 정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 응력을 뜻한다. 연구팀은 “니켈로 제작된
유연
한 투명 전극은 여러 박리 검사에서도 기판에서 분리되지 않았다” 며 “휘거나 비틀었을 때 매우 안정적인 기계적‧전기적 성질을 나타냈고 섭씨 400도 이상이나 바닷물 속 환경에서도 녹슬지 않았다”고 ... ...
자기장·음파까지 느끼는 '인공피부'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진전이 있었다. 실제로 지난해 2월 제난 바오 미국 스탠퍼드대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유연
하면서도 감각센서가 통합된 폴리머로 만든 회로를 통해 인공무당 벌레가 남긴 미세한 움직임까지 느낄 수 있는 인공피부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한 바 있다. 스탠퍼드대 제공 ... ...
온수 온도 낮춰 난방배관 파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줄이는 데 성공했다. 딱딱한 구슬 모양이었던 열 저장 용기를 마이크로 사이즈의
유연
한 캡슐 형태로 바꾼 결과다. 또 이런 PCM 캡슐을 활용한 열 수송 원리를 시각화 기술을 통해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는 PCM 캡슐을 이용한 열 수송 시스템을 건축물의 온도 제어에 활용하는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저출산의 미스터리
2019.01.20
그러나 어려운 환경에서는 아무리 낳으라고 해도 별무소용입니다. 최근의 저출산 현상이
유연
한 생태학적 번식 조절 기전에 의한 적응적 현상인지 혹은 게놈 지연에 의한 부적응적 현상인지는 논란이 분분합니다. 후자의 가설은 영국 뉴캐슬대 대니얼 네틀 교수가 주장했는데, 저출산이 ‘일종의 ... ...
UNIST, 접는 천연색 발광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17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로 PeLED의
유연
성을 향상시키고
유연
성 소자를 더 정확하게 분석하는 게 가능해졌다”며 “이 기법을 다양한 조성의 페로브스카이트 연구에 적용해 PeLED의 안정성과 성능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들 연구는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1 ... ...
태권도를 배운 언니
팝뉴스
l
2019.01.12
발차기 실력을 자랑하고 싶었다. 그러나 일이 뜻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언니의 다리
유연
성이 부족했던 것이 문제였다. 언니를 강력하게 발차기 했다. 동생의 머리 위 컵을 맞힐 수 있다고 확신해서 발차기 강도 조절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러나 불행히도 발끝은 목표에 못미쳤다. 충격은 받은 ... ...
세계 최초 기술 들고 라스베이거스로 가는 KAIST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6
창업한 5개 기업도 함께 CES2019에 간다. 리베스트는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유연
한 리튬 폴리머 이차전지를, 멤스룩스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준보 교수와 그의 제자가 10년 이상 연구, 개발한 아이템을 사업화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를 위한 투명 면광원 광학 솔루션을 선보인다. 또 ... ...
두부 집을 수 있는 로봇 나왔다
과학동아
l
2019.01.04
첸샤오핑 중국과학기술대 컴퓨터과학부 교수팀이 개발한 로봇 손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유연
한 소재로 이뤄져 부드럽거나 깨지기 쉬운 물체도 쉽게 잡을 수 있다. 조작도 간단하다. 첸 교수팀은 2018년 8월 9~11일 호주 뉴캐슬에서 열린 ‘국제지능로봇및응용콘퍼런스’에서 이 로봇 손에 관한 기술을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