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내부에너지
"(으)로 총 987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나노 세계’ 직접 관찰-제어 움직임 활발 육종민 KAIST 교수팀은 그래핀 터널을 이용해 투과전자현미경에서 흐르는 액체 속에 있는 물질도 관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예컨대 산성과 알칼리 액체를 번갈아 흘려보내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게 되는 것 ... ...
옷 입고만 다녀도 “스마트폰 충전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UNIST ‘웨어러블-열전발전기’ 개발 태양광-열전 발전기술을 개발한 최경진 UNIST 교수(왼쪽)와 정연수 연구원. - UNIST 제공 빛으로 전기를 만드는 태양전지는 규소(Si)를 이용해 만드는 실리콘 태양전지와 각종 화학물질을 섞어 만드는 화합물 반도체 태양전지로 나뉜다. 빛을 쬐어주면 내부에 전기 ... ...
‘옴의 법칙’ 190년만에 한국인 과학자가 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전선에 저항이 달린 모습. 전류의 세기는 전압에 비례하고, 저항엔 반비례한다는 ‘옴의 법칙’에 위배되는 금속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발견했다. 옴의 법칙이 나온지 190년 만의 일이다. - 위키미디어 제공 옴의 법칙에 위배되는 물질이 190년 만에 나왔다. 국내 연구진이 특정 금속에서 옴의 법 ... ...
한 번 뜨면 2주 이상 비행하는 성층권 드론의 비밀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전세계 차세대 배터리 개발 각축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에서 자체 개발한 성층권 드론 ‘EAV-3’. 항우연 연구진은 2016년 이 비행기를 18.5km 고도에서 90분 동안 비행시키는 데 성공했으나 올해는 시험비행을 취소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성층권 드론’은 고도 15km 이상의 상공 ... ...
국내 연구진, ‘인공태양’ 운영 핵심 기술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국내 연구진이 핵융합 장치 운영의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미래 에너지를 책임질 ‘인공태양’ 개발의 꿈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우리나라 초전도핵융합장치 ‘KSTAR’로 플라즈마 경계영역 불안정 현상을 34초간 제어하며 플라즈마를 유지하는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 ...
"현재 강한 지자기폭풍 진행중" 10년 만에 발생한 초대형 태양 섬광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08
지난 9월 6일 발생한 태양 섬광현상(플레어). 동반된 물질분출현상(CME)의 영향으로 현재 지구에 지자기폭풍이 진행중이다. - NASA SDO 제공 지금 하늘이 청명해 보이지만, 실은 당신의 머리 위에서 보이지 않는 폭풍이 휘몰아치고 있다. 태양이 일으킨 자기장 폭풍이다. 태양 입자가 지구 자기장을 교 ... ...
[북핵 팩트체크 – 남은 의문들(1)] “의문의 2차 지진파… 방사성 기체 포집 가능성 높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9.04
※3일 일어난 북한의 6차 핵실험은 여전히 많은 의문을 남기고 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그 가운데 세 가지 의문을 상세히 살펴봤다. ●Q1 –방사성 기체 이번에는 검출 가능할까? 원자력안전위원회는 3일 오후와 4일 오후, 제6차 북핵 실험으로 발생했을지 모를 방사성 기체 세슘-137과 방서 ... ...
다이아몬드 넣어 폭발 걱정 없앤 스마트폰 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갤럭지노트7 폭발 모습. 폭발의 원인은 배터리로 밝혀졌다. - Flickr 제공 한번 충전으로 더 오래 쓸 수 있는 고용량 배터리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성능을 평가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다. 하지만 무턱대고 배터리 용량을 크게 만들었다간 폭발 위험이 높아진다. 유리 고고치 미 ... ...
세탁기에 넣어도 멀쩡한 바르는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2
세탁기에 넣어 빨아도 고장 나지 않는 배터리가 개발됐다. 이상영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는 잉크로 그림을 그리는 것처럼 천에 원하는 대로 그릴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했다. 이 배터리는 물에 담그거나 비틀어 짜도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다리미로 다려도 녹지 않아 전자제품을 ... ...
지퍼가 열리니, 부도체 물질이 반도체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6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엔 지퍼가 열리듯 위쪽부터 하나씩 풀려가는 사다리가 등장했다. 분자 구조가 사다리와 닮았다고 해서 ‘레더린(Ladderene)’이라 이름 붙은 고분자의 모습이다. 양시아 미국 스탠포드대 교수팀은 이 고분자를 이용해 외부의 자극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