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해
햇볕
태양광선
햇살
태양
천체
어린이과학동아
"
햇빛
"(으)로 총 80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재 앵무새의 마지막 한 마디 “사랑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20
돌지만 우리는 느끼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다행이네요. 어쨌든 당신 이름처럼 ‘다이내믹’하게 움직이니 정말 멋져요. 에헴~!
햇빛
에 영롱히 반사되는 내 모습을 보면 누구든 반하지 않을 수 없죠. 게다가 안에 있는 사람은 계속 다른 경치를 보게 되니 일석이조죠. 오호홋~. 그렇게 각 층을 빙빙 돌리려면 에너지를 엄청 많이 써야 할 텐데요. 무 ...
붉은 보름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912
한다. 초저에너지 건물은 스스로 전기와 열에너지를 생산한다. 옥상이나 건물 외부에 태양전지나 풍차를 달아 전기를 만들고
햇빛
으로 물을 데워 건물 안에서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외국에는 벌써 온수를 100% 태양열로 만드는 빌딩도 등장했다. 더운 여름에 전기가 가장 많이 드는 곳은 냉방이다. 초저에너지 건물은 자연 바람을 건물로 끌어와 열기를 ...
초승달과 지구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10
그래서 달의 모양이 변하는 거예요. 달의 어두운 부분은
햇빛
을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보이지 않아요. 하지만 지구에서 반사한
햇빛
이 달의 어두운 부분을 비추기 때문에 달의 어두운 부분이 어슴푸레 보이기도 해요. 이 현상을 지구조라고 부르지요. 지구조는 초승달일 때 잘 보이는데 사진으로 찍으면 지구조가 훨씬 더 잘 보여요. 8월에는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31
거야. 빛은 원래 똑바로 직진하지만 물을 만나면 꺾여(굴절). 유리컵 속에 담긴 젓가락이 꺾여 보이는 것이 빛의 굴절 때문이지.
햇빛
이 물방울을 만나면 빛은 한 번 꺾인 뒤 특정한 각도로 물방울에서 되돌아 나와. 빨간 색은 약 42도, 보라색은 약 40도 벌어져 물방울에서 나오지. 무지개는 보통 비가 오고 난 뒤 태양을 등지고 선 자리에서 볼 ...
우주에 뜬 풍선 호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712
우주의 풍선 호텔로 수학여행을 갈 수 있을까요? 미국의 민간 우주탐사 회사 비글로우 에어로스페이스는 궤도에 진입한 뒤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우주선을 발사하는 데 성공했다고 최근 발표했어요. 이 우주선의 이름은 ‘제너시스 2호 ... 실제로는 먹기도 하고 광합성도 하겠지만 그만큼 먹이가 덜 들지 않을까. 재미있게도 광합성을 하는 소는 식물처럼 초록빛을 띨 ...
나뭇잎에 물방울꽃이 폈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29
뿌리에서 빨아들인 물과 잎에서 받아들인 이산화탄소, 그리고
햇빛
을 이용해 영양분을 만듭니다. 이 때 남은 물은 수증기가 되어 잎의 기공을 통해 배출되는데 이 현상을 증산이라고 하지요. 만일 뿌리에서 빨아들이는 물의 양이 증산 작용으로 배출되는 물의 양보다 더 많으면 어떻게 될까요? 식물은 불필요한 물을 빨리 배출하기 위해 잎의 가장자리에 있는 ...
2080년 나의 지구를 돌려줘(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30
0위국으로서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해 산소를 내보내는 나무도 많이 심어야 한다! {BIMG_R10}대체 에너지 개발 따뜻한
햇빛
, 기분 좋은 바람, 철썩이는 파도. 자연의 선물로 태양열, 풍력, 파력 발전을 해 온실기체를 내놓지 않는 청정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쓰레기가 썩으면서 부글부글 나오는 메탄가스로 발전기를 돌려 에너지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고흥군은 독일의 태양광 발전회사인 IBC솔라사와 연간 40메가와트 급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기로 계약을 맺었어요. 태양광 발전소는
햇빛
을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발전소에요. 이번에 짓는 발전소는 고흥군 주민들이 집에서 쓰는 전기의 37%를 만들 수 있어요. 고흥군은쓰지 않는 돌산 부지에 2010년까지 3200억 원을 들여 발전소를 짓는대요. 가상 ...
홀라당~ 뒤집힌 무지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만드는 겁니다.” 빛이 꺾이는 것을‘굴절’이라고 한다. 공기 중에서 직진하던 빛이 물방울을 만났을 때에도 굴절이 일어난다. 원래
햇빛
은 모든 색깔이 섞여 있는 하얀 빛이지만 물방울에 들어가 꺾이면 색깔별로 꺾이는 정도가 달라진다. 이런 현상을‘분산’이라고 한다. 물방울에 들어간 빛이 반사된 후 다시 나올 때는 보라가 빨강보다 더 많이 꺾인다. ...
까칠까칠 황사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314
보듯이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1년 동안 내리는 비는 400㎜도 안 될 정도로(우리나라는 1100~1700㎜) 적기 때문이지요. 게다가
햇빛
이 강해서 증발 현상이 잘 일어나기 때문에 물이 부족해서 사람이나 생물이 살아가기 힘든 메마른 땅이랍니다. 이렇게 건조한 지역에선 조금만 바람이 불어도 모래바람이 일어나기 쉬워요. 그런데 황사가 특히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