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의 총 개수는 1천2백50억개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관측에서 은하의 숫자가 증가한 점을 중시한 천문학자들은 우주의 진화에 대한 단서를
포착
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허블이 보내온 관측자료에서는 수십억년 전에 우주의 저 먼 곳에서 출발한 은하의 빛도 볼 수 있어서, 소위 ‘유령은하’까지도 셀 수 있기 때문이다. 유령은하는 작고 희미한데,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등장한다.서기 2130년 우주를 감시하던 레이더가 지구로 접근하는 정체불명의 물체를
포착
한다. 놀랍게도 지름 20km에 길이가 50km에 이르는 거대한 실린더형의 인공 물체였다. 탐사대가 라마라고 명명 한 이 미지의 우주선 안에 들어가보니 여섯개의 도시와 얼어붙은 바다까지 있는 하나의 독립된 ... ...
Ⅳ NASA 웹사이트베스트7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태양 자기장, 산소탱크 폭발 후 위험에 처한 아폴로 13호, 일본의 화성탐사선 노조미가
포착
한 지구와 달 등 최신사진과 역사적으로 가치가 있는 천문학 및 우주과학 사진(또는 그림)들이 공개되고 있다.이전의 사진을 보려면 ‘우주 발견’(Discover the cosmos!)이라고 쓰여진 글씨를 클릭하면 된다. 이 ... ...
외계인이 살만한 곳 고래자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이것은 미국 국립전파천문대에서 외계의 지적 생명체가 보내는 파장 21cm의 전파신호를
포착
하려는 계획으로, 1년동안 진행됐으나 아무런 수확이 없어 중단됐다. 고래자리 타우별은 3.5등성으로 태양과 같은 타입의 별로 행성계를 거느리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일찍부터 지능을 가진 외계 ... ...
2. 기상예측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바람 강수강도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므로 비구름군단의 동태가 이 지상 관측망에도
포착
된다. 하지만 각 관측소간 평균 간격이 20km 정도여서 개개 호우세포를 추적하기에는 역부족이다.기상레이더는 현재까지 발명된 장비 중 폭우 관측 성능이 가장 두드러진다. 기상레이더는 지상안테나에서 ... ...
파이어니어 10호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제어기 훈련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파이어니어 10호와 통신을 재개하고 이의 신호를
포착
한 것이다. 광속으로도 도달하는데 9시간 40분이나 걸리는 1백6억km나 떨어진 먼 우주 공간에서 파이어니어는 아직도 작동하고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현재 파이어니어 10호는 황소자리 알데바란을 목표로 항해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적외선은 옷을 통과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 옷을 통과하고 몸에서 반사된 적외선을
포착
해 영상으로 만드는 것이 기본 원리다.적외선은 파장이 8천-1만Å으로 가시광선보다 길어 침투성이 좋다. 흔히 '열적외선 사우나'라고 하는 것도 적외선의 침투력을 땀빼기에 이용한 것이다. 이외에도 교량의 ... ...
PartⅡ. 가상 인간 실현하는 테크닉3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정확히 실현할 수 없다.따라서 가상 인간을 만들 때 근육이나 운동신경의 움직임을
포착
하기 위한 명령어 체계인 ‘제어 시스템’이 요구된다. 제어 시스템은 매 순간마다 인체의 관절들이 제각기 무엇을 해야 하는지 결정한다. 마치 오케스트라 지휘자처럼 관절들이 적시에 기능을 수행할 수 ... ...
③ 또다른 태양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추진되고 있는데, 이는 별빛이 주변의 행성에 가려져 그 광량이 주기적으로 변하는 것을
포착
해 간접적으로 생성을 찾아내는 것이다. 또한 행성계가 별빛에 영향을 받는 중력렌즈효과를 지속적으로 모니터함으로써 외계행성을 탐사하고자 하는 PLANET(Probling Lensing Anomalies NETwork)라는 계획이 네덜란드, ... ...
② 소호위성이 밝혀낸 태양의 새모습
과학동아
l
1998년 07호
부른다.오늘날 인류는 태양 관측을 통해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는 징후들을 미리
포착
하려고 애쓰고 있다. 이는 태양이 지구에 미치는 나쁜 영향을 예측하고 대비하려는 것이다. 앞으로의 태양 연구는 지구에 사는 인류가 얼마나 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느냐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향이 잡혀갈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