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굴개굴~, 맴맴~♬ 자연의 소리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소리가 바뀌고 있다!Part2.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Part3. [기획] AI가 자연의 소리를 학습한다! ★ 도움장이권(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교수), 김태우(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 연구사), 강돈혁(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선임연구원), Bernie krause(생물음향학자 ... ...
- [기획] 자연의 소리가 바뀌고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그런데 2019년 1월, 생물음향학자 버니 크라우스 박사가 이끈 연구팀은 지난 15년간 자연의 소리 크기가 절반으로 줄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연구진은 2005년부터 15년간 매년 5월 15일 아침 6시 35분에 미국 북부지역의 슈가로프 주립공원의 같은 장소를 찾아 그곳의 소리를 녹음했어요. 이 ... ...
-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파괴의 심각성을 끊임없이 전달하고 있어요. 주변의 세상에 좀 더 관심을 가져 보세요. 자연의 소리를 통해 다른 어떤 곳에서 얻을 수 없는 기쁨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표현을 사용하면서 이런 구조를 지칭하는 용어가 프랙털로 굳어지게 됐죠. 프랙털은 자연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요, 번개나 나뭇가지 역시 한 갈래로 뻗어가다가 두 갈래로 갈라지는 구조가 반복되는 프랙털이랍니다. 95쪽 그림을 보며 직접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을 만들어볼까요? 먼저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전공해 이를 잘 알던 이 선임연구원은 GNN 기반 알고리즘을 준비했다. 반면에 직전 자연어 처리 대회에서 2등을 하는 등 좋은 성적을 내고 있던 김상훈 씨는 트랜스포머 기반 알고리즘을 만들어왔다. GNN이 분자를 그래프 데이터로 변환해 인공지능을 학습시킨다면, 트랜스포머는 분자를 임의의 ... ...
- 서울시 3D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제공하는 바람길 정보와 건물의 높이 정보, 지형 정보를 통해 지역별 홍수나 폭설 등 자연 재해에 피해를 입을 가능성을 예측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서울맵은 특정 장소를 표시하는 마커 클러스터와 이를 색상으로 나타내는 히트맵 기능이 있다. 이를 활용하면 행정동, 생활권역에 ... ...
- [가상인터뷰] 유리개구리의 위장 비결, 윤곽 흐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 결과, 일반 개구리보다 유리개구리를 찾는 데 시간이 10초 정도 더 오래 걸렸지. 자연에서도 효과가 있었어. 젤라틴으로 만든 불투명 개구리와 반투명 개구리 각 180개를 에콰도르 열대우림에 두고 3일간 새들이 쪼는 빈도를 실험했지. 그 결과, 불투명 개구리는 53개가 공격받았고, 반투명 ... ...
- 핵융합 에너지 또 다른 융합으로 완성하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구상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양이 거의 없다. 이에 한국을 비롯한 ITER 참가국들은 자연계에 풍부한 리튬을 이용해 삼중수소를 공급하는 증식블랭킷을 활발히 연구 중이다. 리튬은 중성자와 반응하면 삼중수소로 변환된다. 따라서 핵융합 실험로의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블랭킷에 ... ...
- [별헤는수학] 우리가 그린 나선이 블랙홀 연구를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데 도움이 될까요? 이 프로젝트를 이끄는 패트릭 트로이타르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자연과학박물관 연구원은 시민천문학자의 그림을 토대로 계산한 피치 각과 실제 피치 각을 비교해봤습니다. 또 인공지능 알고리듬이 자동으로 나선팔을 인식해서 피치 각을 계산한 결과와도 대조했습니다.그 결과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DNA-RNA 결합을 만든다. 그 결과 텔로미어의 안정성을 더욱 떨어뜨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자연에서 등장하는 알트놀랍게도 텔로미어가 가진 새로운 길이 연장 기전인 알트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의 생명체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효모는 단순 반복 서열에 기반한 알트를 가지기도 하고,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