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론"(으)로 총 4,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미디어] 어벤져스: 엔드게임...사라진 영웅들 부활할까?수학동아 l2019년 04호
- 시간과 공간이 무의미해진 곳이다. 양자 역학은 전자, 양성자 같은 ‘양자’를 다루는 이론으로, 물질이나 공간의 위치와 존재를 확률로 나타내는 게 특징이다. 예를 들어 양자 역학에서는 ‘전자가 여기에 있어’라고 결정하지 않고 모든 위치마다 전자가 있을 확률을 계산한 뒤 확률들의 분포에 ... ...
- [탄생 150주년] 알아두면 쓸모있는 신기한 주기율표 이야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기에 18개의 원소를 추가해야 한다. 따라서 8주기 원소가 포함된 확장 주기율표는 이론적으로 172번까지 늘어날 수 있다.이덕환 서강대 화학과 교수는 “확장 주기율표 역시 기본 원리는 기존 주기율표와 동일하다”며 “원자핵 속의 양성자 수에 따라 원자 번호가 결정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빅뱅의 산물, 수소와 헬륨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벨기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는 각각 독립적으로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을 이용해 우주에 대한 중력방정식을 풀었고, 두 사람 모두 시간에 따라 우주가 진화한다는 수학적 결과를 얻었습니다.물질들 사이에 중력이 작용하는 우주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끌어 당겨 언젠가 우주가 수축할 ...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수학동아 l2019년 04호
- 교과서의 거짓말에 대해 이렇게 말했습니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모든 법칙과 이론은 수백 년 뒤 모조리 새로운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절대 진리라고 믿고 있다면, 이것이 과연 옳은 것인지 의심하고 의문을 던지지 않는다면 더 이상의 지식의 진보와 사회의 발전은 기대하기 ... ...
- 김민형|전 국민을 수학과 사랑에 빠트리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수식들을 보고 머리에 쥐가 나 전공을 깔끔하게 포기했노라고. “그럼 수학적 통신이론을 공부하셨어야 했는데. 굉장히 연구가 활발한 분야거든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습니다.”그는 기자를 포함한 우리나라 사람들이 대부분 스스로 수학을 못한다고 생각한다는 점을 매우 안타까워했다. ...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받았습니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프이론과 이산수학, 조합적 최적화가 주요 연구 분야입니다. 2012년에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수상했고, 2017년에는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으로 선정됐습니다 ... ...
- '캡틴마블' 옥에 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구성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나마 일말의 가능성은 ‘안정성의 섬(Island of stability)’ 이론에서 찾을 수 있다. 안정성의 섬이란 핵물리학에서 양성자와 중성자의 개수가 마법수가 돼 긴 반감기를 갖는 원소를 말한다. 마법수는 양성자나 중성자의 껍질이 모두 차서 에너지가 특별히 낮은 핵에서 각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조선인 아버지와 일본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우장춘은 도쿄제국대학에서 종의 합성이론을 제시하며 일본 최고의 유전학자 반열에 올랐다. 홋카이도제국대학의 김삼순(식물학)은 온갖 역경을 뚫고 일본에서 대학을 졸업한 최초의 여성 과학자가 됐다.미국 미시간대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 ...
- 한국 인공태양 완공 10년, 1억 도로 타올랐다과학동아 l2019년 03호
- 핵융합 반응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지구에서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려면 이론상 태양 중심 온도인 1500도보다 7배가량 높은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를 만들어 태양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밀도를 보완해야 한다. 2008년 플라스마 첫 발생 이후 10년 만1억 도 이상 초고온 플라스마가 ... ...
- 단백질 구조예측 대회1등 '알파고' 후배 '알파폴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PDB에는 현재 약 15만 개의 템플릿이 등록돼 있다. 템플릿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지만, 이론적으로 아미노산 서열이 9300만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적은 편이다. 최근에 사용되는 템플릿 기반 구조 예측 기술은 다음과 같다. 미지의 단백질에 포함된 아미노산 서열을 10개 이하로 쪼개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