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통합
종합
혼합
조합
교류
융해
d라이브러리
"
융합
"(으)로 총 1,6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하는 특이천체가 발견되면서 알려지기 시작했다. 별은 태양처럼 중심부에서 일어나는 핵
융합
반응을 에너지원으로 하면서 빛나는 천체이므로 전파 영역에서는 빛(전자기파)이 매우 미약하다는 것이 상식이다. 그러니 전파 영역에서 많은 빛이 발생하는 천체란 매우 신비한 존재였을 것이다.1962년 ... ...
딱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STEAM이 무엇인지 정확히 이해하고 만든 최초의 교구라고 해. 그런데 STEAM이 뭐냐고?요즘은
융합
인재교육(STEAM)이 대세라고~. STEAM은 과학, 기술, 공학, 예술, 수학을 함께 가르쳐서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인재를 기르는 교육이야. 올해는 무려 160개 학교에서 STEAM을 시작한다고 해. 작년에는 불과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워낙 고온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산소보다 무거운 원소도 연료로 쓸 수 있고 다양한 핵
융합
반응을 통해 무거운 원소들을 만든다. 철까지 만든 후 무거운 별들은 초신성 폭발을 한다. 철보다 무거운 원소는 초신성 폭발에서 만들어진다.70억 지구인은 모두 같은 초신성의 후예큰 별이 초신성 폭발과 ... ...
2013학년도 달라지는 고려대 입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012학년도 입학식에서 고려대 김병철 총장은 신입생들에게 창의적인
융합
인재로 거듭나 지혜로운 글로벌 리더로 사회에 꼭 필요한 사람이 될 것을 당부한 바 있다. 2013학년도 신입생 선발 인원 중 약 70%인 2866명을 수시 전형으로 선발하는 고려대의 입학사정을 들어보자. 학교장추천인원 확대 201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년 05호
기록돼 있고, 그 양은 무려 1만 3000쪽에 이른다.레오나르도 다빈치 공책에서 발견한
융합융합
1 예술과 수학다빈치가 활약했던 르네상스 시대는 신 중심이 아닌, 인간 중심의 화법이 유행했다. 3차원 입체를 2차원 종이에 정확하게 그리기 위해서는 공간에 대한 이해가 무엇보다 필요했다. 그는 ...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지상의 데이터 통신은 디지털화를 거치고 다양한 기술이
융합
되면서 20년 동안 무려 1000배나 빨라졌다. 수중 통신도 디지털화하고 이미 지상에 적용해 사용 중인 통신 기술을 바다 속 환경에 맞게 접목하면 빠르게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고 김 교수는 강조했다.“바다 ... ...
초강력 레이저 쏴 인공태양 밝힌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중이며 향후 출력을 높여가며 관련 실험을 할 계획이다. 원자력연이 레이저를 이용한 핵
융합
실험에 성공하면 자기장을 이용한 케이스타(KSTAR)와 함께 한국에서 두 개의 인공태양이 불을 밝힐 것이다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생길수 있어. 과학자들은 핵
융합
에너지가 태권브이의 동력원이 될 거라고 생각해. 핵
융합
에 사용되는 중수소와 삼중수소 5g으로 석유 5만 에 해당하는 엄청난 에너지를 만들 수 있거든.기술❷ 꼭 필요한 네 가지 로봇기술거대조종로봇을 비롯해 로봇이라면 꼭 필요한 게 있어. 중요한 것만 꼽으면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어느 한 전공이 독점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여러 학문의
융합
이 필요한 완전히 새로운 연구분야다.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으라는 말처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려면 새로운 관점과 지식이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휼륭한 연구성과를 보여주는 ‘멀티스케일 에너지 시스템’ 연구실에 도전정신을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만들어내지 못한다. α가 0.1이면 탄소 원자를 산산조각 내버린다. 0.1보다 크면 별의 핵
융합
반응도 불가능해지고 만다.이렇게 미세구조 상수는 우리의 존재 자체와 깊은 관련이 있다. 양자전기역학의 창시자인 리처드 파인만도 이 상수의 미스터리한 면에 깊이 빠져 있었다. 파인만은 1985년 자신의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