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식
식전
형
양식
제전
공식
방법
d라이브러리
"
식
"(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과거 화산재 구름이 수직으로 솟다가 옆으로 퍼지는 격렬한 ‘플리니안(Plinian)’
식
분출을 했다. 화산 분화 가운데 폭발력이 가장 큰 이런 분출은 다량의 화산재를 고공(성층권)으로 올려 전세계로 확산시킨다. 미세한 화산재와 이산화황 등의 가스가 에어로졸을 만들어 태양빛을 가린다. 백두산이 ... ...
한눈에 보는 수학동아 교과 단원 맵
수학동아
l
2016년 12호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열람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내부 사람이니, 어서 내용을 공개하라”는 질문을 하는
식
이죠.0.2초 동안 잠깐 드러나는 미세 표정미세한 표정의 변화를 관찰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드라마 ‘라이 투 미’의 천재 심리학자 칼 라이트만은 약 0.2초 동안 잠깐 드러나는 표정으로 용의자의 거짓말을 ... ...
[지
식
] 세계는 스팸과 전쟁 중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교묘해집니다. 마치 친구가 보낸 메일처럼 제목을 ‘야, 오늘 뭐해?’라고 짓는
식
으로요. 메일의 내용으로 스팸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면, 스팸이 동시다발적으로 뿌려진다는 점을 이용할 수는 없을까요?신승원 교수는 “누군가 동시에 대규모로 보낸 것인지 아닌지를 알려면 세계 각국의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거리에 있는 장애물을 피할 수 있는 기술을 지난 6월 발표했다. 기존 드론은 장애물을 인
식
할 때 소형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탐지할 수 있는 거리가 50m에 불과했다. 아브로보틱스는 레이더를 사용해 이 거리를 처음으로 1km까지 늘렸다.DHL 비킹 부사장은 “자율비행하는 드론과 인간이 공존하기 ... ...
[Career] “세계의 바다를 가를 무인선박을 개발합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높이는 데 한계가 있죠. 공기방울은 마찰력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김다민 어떤
식
으로 마찰을 줄여줄 수 있나요?김낙완 물과 접촉하는 어뢰 앞머리에서 커다란 기포를 발사합니다. 공기 방울 안에 들어간 어뢰의 동체는 진공 막 속에 있게 되는 것이죠. 어뢰에서 물에 닿는 건 앞머리의 일부밖에 ... ...
[지
식
] 저글링 하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테니스를 즐겁게 치잖아요.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수학자가 아니더라도 자기가 가진 지
식
수준에서 문제 푸는 재미를 느끼면 되지요. 연습하면 실력이 늘고, 연습하지 않으면 실력이 줄어드는 것도 닮았어요.”김 교수님은 수학을 게을리 하지 않기 위해서 공동연구를 즐겨요. 혼자 연구하면 하기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우습게 생각하지 마십시오, 밖에서 보는 거랑 다릅니다’라고 했던 내 조언이 이런
식
으로 현실이 될 줄이야.내 추측은 이렇다. 권력 핵심부에 있는 누군가가 K 의원의 무서운 상승세를 수상히 여기고 그 주변을 조사했다. 그리고 센서스 코무니스에 대해 알게 되고, 센서스 코무니스와 J 그룹의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12초도 채 되지 않아 거북을 따라잡을 수 있어요.”단이 답을 말하자마자 아킬레스는 순
식
간에 거북을 따라잡더니 단의 시야 밖으로 사라졌다. 거북은 아킬레스가 멀리 사라진 것을 확인하고는 모래 속에 파묻혀 있던 열쇠를 찾아 물었다. 그리고 단에게 다가와 건네줬다.“당신이 해냈군요. 저쪽에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은 칠판에 적힌 공
식
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었다. 1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울레스 교수의 연구실에 침묵이 흘렀다. 드디어 사울레스 교수가 입을 열었다. “I don't know.” 그걸로 그날의 토론을 마무리했다. 또 한 번의 노벨상을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