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미국 유학 일기] ‘다양함’ 가득한 스탠퍼드대에 끌리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각자 살아온 배경과 앞으로의 꿈은 정말 다양했다. 우리는 서로의 문화, 교육 시스템, 화학을 좋아하게 된 계기 등에 대해 끊임없이 이야기를 나눴다. 특히 시리아에서 온 친구들과의 대화가 참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내전 때문에 동네에 폭탄이 떨어져 전기와 수도가 끊긴 상황에서도 굴하지 ... ...
- [SW 진로 체험] AI가 있는 곳에 수학이 있다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말고도 디벨로퍼와 엔지니어도 있어요. 리서치 디벨로퍼는 인공지능과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하고, 리서치 엔지니어는 머신러닝을 바둑과 접목한 알파고처럼 연구 결과를 실생활 어디에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요. ● 수학자 홀린 인공지능의 매력 김 기자 : 수학으로 박사학위까지 받았는데, ...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혹은 거짓 4 - 인공 달이 떠오른다? 지난 10월, 중국의 민간기업인 청두우주과학기술전자시스템연구소는 2020년까지 ‘인공 달’을 하늘에 띄워 전기 에너지를 아끼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어요.인공 달의 정체는 거대한 금속판을 단 인공위성이에요. 금속판이 지구의 정지 궤도*를 돌며 거울처럼 ... ...
- [핫이슈] 75t급 엔진 비행 성공! 누리호 시험발사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해요. 마치 여러 악기를 조율해 아름다운 화음을 내는 오케스트라처럼 말이지요. 발사대 시스템 개발 담당자들은 기나긴 개발과정을 보상받는 뿌듯함은 물론, 발사대와 건물을 오르내리면서 생긴 튼튼한 다리 근육을 선물로 얻었답니다. 시험발사체 관문을 무사히 통과한 누리호는 본격적으로 ... ...
- [지구사랑탐사대] 연어특별탐사, 강을 거스르는 마지막 질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와! 엄청 커요!”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무엇을 보고 이렇게 놀랐을까요? 바로 알을 낳기 위해 바다에서 강으로 돌아온 연어였어요. 지난 11월 4일, 대원들은 강으로 돌아온 연어를 보기 위해 강원도 강릉에 위치한 남대천에 모였어요. 남대천에서 펼쳐진 연어 특별 탐사 현장으로 가 볼까요? ... ...
- [현장취재] 미래 과학자를 꿈꿔라! 해외 탐방 체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역할을 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했어요. 제조부터 관리, 보안까지 모든 과정이 무인시스템으로 움직이고 있답니다.” 국립 타이베이 과학기술대학교 슈 하오 리앙 교수님의 안내에 따라 연구실에 들어서자, 교실만 한 공간 안에 사람 키만큼 큰 기계 여러 대가 분주히 움직이고 있었어요. 기계에 ... ...
- [지구사랑탐사대] 민물고기 특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지난 10월 13일,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충남 서천에 위치한 국립생태원에 모였어요. 이날 대원들은 국립생태원 생태보전연구실 김수환 박사님으로부터 외래어종에 대한 특별 강의도 듣고 지사탐 어벤져스와 함께 민물고기 탐사도 했지요. 외래어종, 무엇이 문제일까? “큰입배스와 블루길의 ... ...
- Part 3. 정밀농업, 과학자, 식물과 통(通)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텔로팜’이라는 회사를 세우고 식물의 생체 정보를 파악하는 칩인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를 개발했어요. ‘MEMS’는 환경 센서 등에 쓰기 위해 매우 작게 만드는 기계로, 10억 분의 1m의 크기를 다루는 나노기술이 필요해요. 텔로팜은 서울대학교 근처에 텃밭 ‘도시농업연구소’를 짓고 ... ...
- Part 1. 빈집 위기에 처한 ISS?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우주인이 지구로 돌아가야 하는데, 그럼 ISS가 빈집이 되는 거예요. ISS는 완전 자동화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ISS에 사람이 없으면 자칫 큰 사고가 일어날 수 있어요. 그래서 ISS에서는 보통 5~6명의 우주인이 항상 머문답니다. 우주인들은 보통 6개월 정도 ISS에 머물며, 3~5개월에 한 ... ...
- 구조성공! 잠수 위험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적당했지요. 구조 작업에는 한 명의 소년을 두 명의 잠수부가 이동시키는 ‘버디 시스템’이 이용되었답니다. 소년은 들것에 실린 채 얼굴 전체를 덮는 잠수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앞에 있는 잠수부가 이 소년의 공기탱크를 들고 이동하는 방식이에요. 한 사람을 구조하는 데 약 2시간이 걸렸으며,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