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칙
원리
원칙
규정
법
규범
이치
d라이브러리
"
법칙
"(으)로 총 1,92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장비가 발전하는 속도는 반도체 칩의 처리속도가 18개월 만에 두 배가 된다는 ‘무어의
법칙
’보다 훨씬 가파릅니다. 최근 수년 동안은 해독 속도가 매년 10배씩 증가했으니까요.”미국 하버드대 의대 유전학과 조지 처치 교수는 4월 27일 미국 케임브리지에서 열린 ‘GET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 ...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게놈도 생명정보학에서는 정보의 덩어리에 불과하다. 단지 그 정보의 덩어리가 자체의
법칙
을 따르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복잡한 대상이라는 점이 특이할 뿐이다. 생명정보학에서 중요한 작업은 정보를 ‘지도화’하는 일이다. 게놈은 그런 지도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지도다. 게놈 지도가 ... ...
관성과 ‘친해지길 바래’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성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안 관찰자가 관성계에 있을 때와 마찬가지로 운동
법칙
을 성립하게 하기 위해 도입한 힘이 관성력이다. 이때 관성력은 관찰자의 가속운동에 의한 효과를 상쇄해주기 위해 그 인형(물체)에 관찰자의 가속도와 반대방향으로 ‘관찰의 가속도×질량’ 크기의 힘이 ... ...
선거제도 수학으로 파헤치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불과 1000~2000명, 때로는 몇 명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큰 수의
법칙
이다. 큰 수의
법칙
은 이론적으로 발생할 확률이 p인 어떤 사건에 대해 시행 횟수를 늘릴수록 그 사건이 발생하는 경우의 비율이 p에 가까워진다는 이론이다. 여러 번 반복해서 동전을 던지면 이론적 확률인 1/2에 가까워지는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아닌 것이다’와 같은 형식으로 나타납니다. 이것 아니면 저것이지 중간은 없다는 논리
법칙
입니다. ‘눈물을 글썽이다’와 ‘눈물을 글썽이지 않는다’ 둘 중 하나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란 없기 때문에 ‘눈물을 글썽이거나 눈물을 글썽이지 않는다’는 언제나 참이 됩니다.Epilogue_모험의 막바지에 ... ...
수학의 영웅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냈다. 이 두 가지 방법을 쓸 경우 구의 부피가 전체 부피의 약 74%를 차지한다.케플러의
법칙
에 해당하는 두 가지 쌓기 방법 하지만 케플러는 자신의 추측을 증명하지 못했다. 평범한 사람도 흔히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증명은 쉽지 않았던 것이다. 케플러 이후 뉴턴, 라그랑주, 가우스, 힐베르트 등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미지수다. 빛의 굴절에 관해 400년의 역사를 가진 스넬의
법칙
이라는 게 있다. 이
법칙
에 따르면 투명망토가 될 정도로 심하게 굴절이 일어나려면 빛은 진공에서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해야 한다. 빛의 최고속도를 뛰어넘어야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이는 물리적으로 위배되는 일이다.게다가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넣으려면 전자와 정공의 움직임을 정확히 이해해야 합니다. 미분방정식으로 표현되는 그
법칙
을 물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물리전자’입니다. 최근에는 인체 속 병균을 발견하고, DNA나 암을 추적할 수 있는 차세대 바이오 칩을 개발하는 데 주력하고 있어요.”물리전자연구실은 최근 탄소 나노 ... ...
인간처럼 영리하고 현명한 동물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동물 세계의 복잡하고 흥미로운 모습을 관찰해 인간이 미처 깨닫지 못했던 미지의
법칙
을 발견했다. 그는 책의 서문에 동물들의 ‘죽이기’가 본능에 따른 행위이기는 하지만 인간의 행동과 너무 비슷하다고 적고 있다. 동물은 적을 공격함과 동시에 자기를 방어하고, 먹잇감을 속이고 기만하며 ... ...
광집게로 DNA의 꼬인 나선 풀고 세포 특성 파악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호스로 벽에 물을 뿌리는 상황과 같다. 물줄기가 벽을 미는 힘이 생긴 이유는 뉴턴의 운동
법칙
에 따라 물분자들의 운동량이 벽을 미는 힘으로 변했기 때문. 빛을 이루는 입자인 광자도 매질이 다른 물질 안으로 굴절하며 들어갈 때 운동량이 변하고, 이때 광압 차이가 생기면서 작은 물체 같은 경우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