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달나라 탐사 최종 미션! 베이스캠프 건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안전한 달 기지는 어떻게 지어야 할까요? 달의 용암동굴을 기지로 삼아라!올해 7월, 미국 UCLA의 지구행성우주과학과 타일러 호바스 연구팀은 달 고요의 바다와 지혜의 바다 표면에 구멍처럼 난 용암동굴 입구를 조사한 결과, 평균 약 17℃의 온도를 유지한다는 연구를 발표했어요. LRO 탐사선의 ... ...
- [만화 뉴스] 스티커로 내 몸을 관찰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월 28일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쉬안 허 교수팀은 신체 내부를 관찰할 수 있는 우표 크기의 스티커를 만들어 공개했어요. 이 스티커는 병원에서 우리의 신체 내부를 관찰할 때 사용하는 초음파 진단기와 비슷한 원리로 만들었어요. 피부에 붙이면 스티커에 있는 초음파 진단기가 초음파를 몸 ... ...
- [특집] 달나라 생존을 위해 꼭 필요한 물과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왜냐면 달에는 철을 녹슬게 할 산소나 물이 거의 없기 때문이죠. 연구에 참여한 미국 제트추진연구소(JPL)의 과학자 아비게일 프래맨은 “처음에는 믿지 않았다. 존재해서는 안되는 것”이라고 말할 정도였죠.연구팀은 산화철이 생기는 이유로 지구로부터 날아오는 산소와 극지방에 미량 존재하는 ... ...
- [그래프 뉴스] 쫙~ 빨아들여서 찰싹! 문어 빨판 장갑 등장!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합친 말이에요. 이 장갑을 끼면 물속에서도 미끄러지지 않고 물건을 꽉 잡을 수 있지요. 미국 버지니아 공과대학 연구팀이 지난 7월 공개한 옥토 글로브는 장갑의 손가락 끝에 반구★ 모양의 조각이 하나씩 달려있어요. 말랑말랑한 재료인 실리콘으로 문어 빨판을 흉내 내 만든 조각이지요. 문어는 ... ...
- [화보] 아름다움이 멸종하지 말기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아름다운 자연을 보면 영원히 지속되길 바라는 마음이 생기나요? 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는 다양한 생물의 아름다운 모습과 함께 지구가 직면한 위협을 보여주기 위해 매년 ‘빅픽처 내추럴 월드 사진 공모전’을 열고 수상작 속 생물의 멸종 위기 여부를 알려요. 올해 수상작을 공개해요 ... ...
- [특집] 달나라 개척자의 필수품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방법올해 7월, 덴마크 코펜하겐대학교 닐스보어연구소의 아이리스 페르난데스 연구원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2008년에 보낸 LRO 관측선의 카메라가 촬영한 기존 달 표면 사진을 이용해 달의 지형을 알아보는 방법을 발표했어요. 원래는 LRO 관측선의 고도계가 레이저를 쏘아 고도를 쟀지만 고도계의 ... ...
- [과학 뉴스] 제임스웹, 먼지 속의 수레바퀴 은하를 관측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월 2일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이 포착한 수레바퀴 은하의 모습을 공개했어요. 수레바퀴 은하는 가스와 별들로 이루어진 고리가 두 개 겹쳐 있는 수레바퀴 모양의 은하예요. 이 은하는 지구로부터 약 5억 광년● 떨어져 있고, 가을에 우리나라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는 ... ...
- [가상 인터뷰] 한국 최초 달 탐사선, 다누리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8월 5일 오전 8시 8분(우리나라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미국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우주발사체인 팰컨9에 실려 발사되었습니다. 다누리는 질량이 678kg으로 가로, 세로, 높이가 약 2m인 큐브 모양이에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다양한 민간 기업과 함께 201 ... ...
- [냠냠! 어수잼] 달 주위를 맴맴~ 달 친구 ‘다누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전해야지! 달까지 가기 위한 긴 여정 우리나라 최초의 달 탐사선 다누리가 지난 8월 5일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의 발사장에서 우주로 향했어요. 다누리는 ‘달을 남김없이 누리고 오라’는 뜻으로 ‘달’과 ‘누리다’가 더해진 이름이에요. 4개월 반 동안 우주를 비행하다 12월 ... ...
- [기획] 모낭충 300만 년 전부터 인류와 동거동락♥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아시아로 이동한 뒤 전 세계로 퍼졌다는 아프리카 기원설과 일치해요. 연구에 참여한 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미셸 트라우트웨인 연구원은 “모낭충은 현생인류의 여행에 함께했을 가능성이 높다”며, “모낭충은 그냥 벌레가 아니라 인류의 고대사를 들려주는 스토리텔러”라고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