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마리"(으)로 총 2,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새끼 2마리가 부화해서 둥지를 떠날 때까지 모두 다 생존하는데, 어떤 둥지에서는 한 마리만 살아남기도 해. 안타깝게도 새끼가 모두 죽거나 사라져버리는 상황도 생기지. 갑자기 둥지에서 새끼가 사라졌다면 도둑갈매기에게 잡혀 먹혔을 가능성이 있어. 또 어떤 둥지에서 새끼의 사체가 관찰되면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우연히 마주칠 만한 생명체가 아닌 것만은 확실했다. 수수께끼는 더욱 깊어졌고, 실마리를 쥔 사람은 하나뿐이었다. 나는 김 박사가 말해 준 내용을 정리해 미지의 질문자에게 답장을 보냈다. 두 번째 메일은 답장한 지 몇 시간 뒤에 도착했다. 이상한 사진은 첨부되어 있지 않았다. 어김없이 ... ...
- [과학뉴스] 산호도 씹어 먹는 돔의 비밀 밝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떼어낸 뒤 잘게 부숴 해초를 골라먹고 남은 가루는 뱉어내는 습성이 있다. 파랑비늘돔 한 마리가 이렇게 만드는 모래의 양은 연간 90kg에 이른다. 푸파 길버트 미국 위스콘신매디슨대 물리학과 교수와 매튜 마르쿠스 로런스버클리국립연구소 연구원 등 공동연구팀은 파랑비늘돔의 이빨이 강력한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새로운 군체가 번식한다. 그런데 소위 ‘싹쓸이’식 채집으로 한 군체, 즉 여왕개미 한 마리가 사라지면 향후 100군체가 사라지는 꼴이 된다. 동 씨는 “실제로 사람 손을 탄 곳과 안 탄 곳에서 볼 수있는 개미 종류나 개체 수가 확실히 다르다”고 말했다. 집으로 돌아가는 길, 동 씨에게서 메시지가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모델링과 관련된 연구를 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한데 모여서 깜박거리는 반딧불 여러 마리를 생각해 보세요. 반딧불은 처음에는 자기 마음대로 깜박거리다가도 마음에 드는 암컷을 보면 암컷이 깜박거리는 모습을 흉내 내면서 유혹하려고 해요. 그래서 시간이 지나면 반딧불이 모두 똑같이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 속에서 음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일일까요? 미국 필라델피아 아동병원 연구팀은 100일 만에 어미 배에서 나온 새끼 양 8마리를 인공 자궁에서 4주 동안 키우는 데 성공했어요. 보통 양의 임신 기간은 150일 정도예요. 이보다 일찍 태어난 새끼 양은 미성숙한 상태로, 몸의 각종 기관이 제대로 발달돼 있지 않아요.인공 자궁에는 따뜻한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거예요. 연구팀은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대리모인 미꾸라지에 이식해서 치어 7576마리를 얻었어요. 앞으로 연구팀은 이 치어를 자연 생태계에 방류하기 위해 계속 연구할 예정이랍니다.하지만 하천이 오염되면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미호종개도 오래살지 못해요. 미호종개가 고향인 금강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 _ 로라 락 대원 집 바깥 공기는 이산화탄소와 메탄으로 가득하다. 풀 한 포기, 개미 한 마리는커녕 물 한 방울 없이 척박한 이곳. 지구를 떠난 인류가 정착할 행성 후보 일순위로 거론되는 화성이다. 아직까지 화성에 간 인간은 없다. 그렇다면 이들은 누구일까. 현무암질 화성 표면과 유사,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폐디스토마 감염이 사망의 주요 원인인 것으로 결론 내렸다. 폐디스토마는 대개 5~10마리만 감염돼도 기침이나 가래, 기관지염 등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폐디스토마가 발견된 장소도 특이했다. 이름에서 짐작되듯 지금까지 폐디스토마는 폐에만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소화기관에 ... ...
- Part 4. 아쿠아 맨의 삼지창 초속 100m 초공동 어뢰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얇은 초공동 현상을 유도한다. 발생 방식이 조금 더 까다롭지만, 추진 에너지와 속도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디자인이다. 아쿠아맨은 ‘삼지’창을 던져야 하므로 조금 힘이 들더라도 러시아의 전략이 적합하다. 힘은 절반으로, 속도는 배로독일은 현재 초공동 어뢰의 속도를 기존의 2배인 ... ...
이전75767778798081828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