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d라이브러리
"
다만
"(으)로 총 1,708건 검색되었습니다.
09. 간빙기가 베풀어준 천혜의 갯벌
과학동아
l
200404
살았던 사람은 아니라는 것이다. 최초 한반도인은 그 전, 수십만년 전에도 있었다.
다만
이들은 한반도에 정착하지 못했던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자연사 10대 사건 01. 맨틀에서 탄생한 한반도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03. 두 대륙이 충돌해 한반도 형성 04. 땅속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03
받겠다”고 밝혔다.일부에서 우려하는 인간복제에 대한 생각은 추호도 없었으며
다만
인간 배아 복제와 여기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입증하고자 하는 학문적 욕구와 사명감만 있었다는 것. 그렇지만 황 교수는 앞으로 1년 정도 모든 연구를 중단하고 사회각계의 의견을 진지하게 ... ...
빛을 조작하는 자연의 나노기술 광결정
과학동아
l
200403
있다. 아직까지 생명체들이 정확히 어떻게 광결정을 만드는지는 밝혀져 있지 않다.
다만
유전자의 지시에 따라 정교한 순서로 결정구조가 형성되는 자기조립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보인다.최근 양 교수팀은 지름이 머리카락 두께의 5백분의 1정도인 나노구슬이 자기조립 과정을 거쳐 광결정을 ... ...
3. 배아 줄기세포 치료이용, 그 머나먼 길
과학동아
l
200403
것입니다.”강 교수 역시 줄기세포 치료연구가 아직 시작단계라는 말을 잊지 않았다.
다만
줄기세포를 이용해 치매나 파킨슨씨병과 같은 퇴행성 신경계 질환을 치료하거나 유방성형수술을 하는 것은 5년 내에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일반인들이 줄기세포의 위력을 맛볼 날도 머지 않았다 ... ...
나노기술 미래의 시한폭탄인가
과학동아
l
200403
우리나라에서는 나노입자에 대한 유해성을 조사한 연구가 한차례도 없었다고 한다.
다만
나노기술촉진법 시행령에는 나노기술의 환경영향 평가에 대한 연구에 대한 항목이 포함돼 있다.또한 과학기술기본법에 따라 지난해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산하에 기술영향평가위원회가 신설됐다. 이 위원회는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01
아직까지 피부색을 만들어내는 유전자의 구성에 대해 거의 아는 바가 없다”고 말한다.
다만
최근의 연구 결과 피부색의 발현에는 생각보다 적은 유전자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피부나 눈, 머리카락의 색은 멜라닌이라는 색소가 있기 때문이다. 멜라닌은 세포내소기관인 멜라노솜에 ... ...
03. [시간의 역사] 옛날에는 시간약속을 어떻게 했나?
과학동아
l
200401
한해가 주기적으로돌아온다는 것은 자연적인 시간이므로 고대인들도 잘 알고 있었다.
다만
한해의 시작을 언제로 잡을 것인지는 인위적인 시간이므로 시대마다, 또 문명권마다 제각기 다르다. 새해를 기념한 가장 오랜 기록은 기원전 2000년경의 메소포타미아인데, 태양력과 태음력이 뒤섞인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01
어느 관점을 따르던 그것은 물리학의 시간일 뿐이다.“시간이 존재합니까? 알 수 없지요.
다만
있다고 가정하고 있을 뿐입니다.” 시간의 본질을 파헤치는데 평생을 바친 소광희 서울대 철학과 명예교수의 결론이다. 소 교수는 “인간은 변화를 통해 시간의 개념을 발견했다”며 “따라서 변화를 ... ...
지방에 대한 5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0401
뿐 아니라 세포막이나 지방조직을 만드는데 쓰이므로 적당량일 경우 필수적인 요소다.
다만
현대인은 식단에 포화지방산이 지나치게 많을 뿐 아니라 여분의 탄수화물이 몸 안에서 포화지방산으로 바뀌어 저장되므로 대부분 과잉으로 존재한다. 따라서 영양학자들은 하루에 20g 이상 먹지 말라고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
과학동아
l
200401
시대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배나 비행기는 현재 위치를 알기 위해 시계를 사용한다.
다만
해나 별을 관측하는 대신에 인공위성에서 오는 시간신호를 수신한다는 점이 다르다. 빛이나 전파의 속도는 일정하며 1초에 약 30만km를 진행하므로 전파가 출발지점에서 도착지점까지 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 ...
이전
75
76
77
78
79
80
81
82
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