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개시
처음
기원
발단
출발
근원
d라이브러리
"
시작
"(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채집하거나 죽이지 않고도 조사가 가능하다는 사실도 장점이다. 영국에서 1970년대에
시작
된 ‘국가나비모니터링계획’에서는 일정 구간을 정해진 속도로 걸어가며 사방 10m 안에서 나비를 조사하는데, 다양한 환경을 구간으로 나누고 매주 반복 조사해 촘촘히 관찰하고 기록한다.나비를 비롯한 ... ...
모자이크로 붙인 카시오페아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펼쳐진다. 낮이 부쩍 길어져 해가 지는 시각은 저녁 7시 52분이다.서서히 어두워지기
시작
하면 얇은 눈썹 모양의 초승달이 모습을 드러내고 그 위로 밝기 0.9등급의 토성이 빛난다. 여기에 붉은색을 띠는 밝기 1.1등급 화성과 이 회동을 ‘주선’한 사자자리의 1등성 레굴루스까지 모습을 드러내면 ... ...
“지구 최후의 날을 대비하세요~!”종자저장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불고 있는데요, 노아의 방주가 만들어졌다는 현장에 가까워지자 뭔가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
합니다. 과연, 저 앞에 보이는 게 정말 노아의 방주일까요? 직접 가까이 가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노아의 방주라고 불리는 분이 당신인가요? 그런데 배처럼 보이지는 않는군요.사람들이 흔히 노아의 ... ...
탄생! 대한민국 우주인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4월 8일은 무슨 날일까요? 바로 한국 최초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떠나는 날이에요. 이에 앞서 지난 1월 30일부터 2월 4일까지 우주 ... 첫발을 내딛는 우리나라도 언젠가 이 곳 부럽지 않은 우주센터를 가질 날이 오겠죠? 그
시작
점이 될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에게 뜨거운 응원의 박수를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밀려오다가 파장의 2분의1 깊이가 되는 지점부터 파도가 높아지고 파장이 짧아지기
시작
한다. 그리고 해안가에 이르러 물보라를 일으키며 부서지는데 이를 ‘연안쇄파’라고 한다.해안가에 직접 피해를 주는 연안쇄파는 바람의 세기가 셀수록 위력이 커진다. 기상청은 바다에서 10분 동안 평균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흘러드는 따뜻한 바닷물의 원류는 필리핀 근처의 따뜻한 물덩어리(웜풀)다. 웜풀에서
시작
한 쿠로시오 난류가 우리나라의 해양환경과 기후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 해류는 대한해협을 지나는데, 한국해양연구원 대양열대해역연구사업단이 이 ‘길목’을 지키고 있다. 일명 ‘포세이돈’(POSEIDON) ... ...
치매 해결의 열쇠 뇌혈관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세포 수준에서 벗어나 세포들 간의 상호작용에 A-KAP 12가 어떤 역할을 하는가를 연구하기
시작
하자 새로운 세상이 보였다. A-KAP 12는 혈관내피세포와 성상세포, 뇌의 뉴런과 상호작용해 뇌의 독특한 내벽구조를 만들었던 것. 그가 세포수준이라는 방에 갇혀있었다면 밝혀낼 수 없던 새로운 사실이었다 ... ...
건강을 위협하는 척추 S라인 탈출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잘 걸리죠. 여자는 남자보다 유연한데다 키가 쑥쑥 크는 시기도 빨라서 일찍 척추가 휘기
시작
하죠. 성장이 멈출 때까지 척추는 점점 더 심하게 휩니다. 척추가 10。이상 휘면 척추측만증으로 본답니다. 여자인 저는 더 조심해야겠어요! 제 척추는 어떤가요?유진이의 X-ray 사진을 볼까요? 척추가 ... ...
갈릴레오 시스템용 두 번째 위성 발사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방사선이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원으로 확인되면서 방사선에 대한 돌연변이가 연구되기
시작
했다이온화방사선에 의해 인체가 받는 장애 방사선을 받는 내장기관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다인간의 개체 또는 유전과 관련하여 가장 큰 장애를 받는 내장기관을 결정적 내장기관 또는 줄여서 결정장기라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여우원숭이가 살았다. 하지만 대륙에 원숭이가 출현할 즈음 섬이 대륙에서 분리되기
시작
했고 마다가스카르 섬에 원숭이 종이 도착하기 전에 섬은 완전히 분리됐다.대륙 본토는 영민하고 적응력이 높은 원숭이 종이 여우원숭이가 차지했던 생태적 위치를 재빠르게 점유했다. 결국 아프리카 ... ...
이전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8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