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뉴스
"
한
"(으)로 총 24,682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 신규 확진 698명…‘거리두기’ 단계 격상 압박 커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801만168명이다. 국가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이 3141만9303으로 가장 많다. 최근 확진자가 급증
한
인도가 1387만3825명으로 그 뒤를 이었다. 브라질이 1367만3507명이다. 이날 기준 전 세계에서 코로나19에 희생된 사람은 모두 297만389명이다 ... ...
화성 헬기 ‘인저뉴이티’ 첫 비행, 다음주 이후로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화성을 나는 데 성공하면 인류는 지구가 아닌 행성에서 처음으로 동력으로 제어
한
비행체를 띄웠다는 이정표를 세우게 된다. 인저뉴어티는 첫 비행에서 3m 높이에서 30초간 떠 있는 임무에 도전할 예정이다. 화성 첫 헬기 인저뉴이티(Ingenuity) 비행 상상도. NASA 제공 화성 첫 헬기 인저뉴이티 ... ...
오염수인가, 처리수인가…세계 주요 언론들도 표현 갈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5
또 미국 통신사인 AP 통신은 ‘처리된 방사성 물’이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했다. 특히
한
기사에서는 ‘처리됐지만 여전히 방사성 물(treated but still radioactive water)’이라고 표현하며 오염수를 정화해도 방사성 물질이 남아있음을 강조했다. 반면 프랑스 통신사인 AFP 통신은 일본 언론처럼 오염수와 ... ...
미일 정부는 오염수 방류 옹호했지만…미일 과학자들 "해양 오염"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들어갔을 때도
한
국의 수산물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본 수산물에 대
한
기피가 생길 수 있지만 국내 수산물까지 공포를 과장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 ...
모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에 효과 치료제 후보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애덤 핀 브로스톨의과대학 교수는 “변이바이러스의 위협으로 현재 사용 가능
한
백신의 예방 효과가 떨어지고 변이바이러스 재감염 사례가 늘어나는 실질적인 위험이 생길 수 있다”며 “모든 변이바이러스 균주에 걸쳐 효과가 있는 항바이러스 치료제로 백신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원안위 "日 규제위원회에 객관적 심사 촉구"…中 규제기관과도 공동 대응 시사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업데이트하는 등 정보 공개를 강화할 계획이다. 엄 위원장은 “해수 방사능 분석기관인
한
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인력과 장비를 2021년까지 보강해 약 2년 후로 계획된 일본의 오염수 해양 방출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 ...
유전자 교정 기술로 모기 말라리아 전파 능력 없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올해의 과학자 10명을 선정하며 인도네시아에서 뎅기열로 인
한
사망자를 줄이기 위해 모기에 윌바키아 세균을 집어넣은 생명공학 연구자를 선정하기도 했다. 실제 이 모기 덕분에 인도네시아에서는 뎅기열 환자 발생률이 77% 감소했다 ... ...
방역당국 "1000명 발생해도 대응 가능해"…거리두기 격상 신중론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이것이 가장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집단감염을 살펴보면 개인간 접촉에 의
한
감염이 많은 만큼 다중이용시설 방역조치도 중요하지만 개인 방역수칙 준수가 더욱 중요하다는 판단이다. 윤 반장은 “집단감염은 현재 소규모, 개인간 접촉 감염이 상당수이고 특히 수도권이 그런 경우”라며 ... ...
힘이 필요해? 옷에 붙이기만해…'근육옷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근육옷감은 근력을 보조하는 웨어러블 로봇 기술로 힘이 필요
한
신체 부위 어디든 쉽게 붙여 쓸 수 있다 .
한
국기계연구원 제공 근육옷감 작동모습 시연영상.
한
국기계 ... 밝혔다. 근육옷감 작동모습 시연영상.
한
국기계연구원 제공 근육옷감 작동모습 시연영상.
한
국기계연구원 제공 ... ...
'로켓 잔해일까, 소행성 잔해일까' 헷갈리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이 정도 크기의 작은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하는 사례는 매년 수 차례 발생
한
다. 1~2년에
한
번씩은 지구 대기에 충돌하는 경우도 있다. 또 만에 하나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하더라도 크기가 워낙 작아 대기권 상층부에서 쪼개져 '화구'로 불리는 밝은 불덩어리를 만들 뿐 큰 피해는 입히지 않는다. ... ...
이전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