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모델로 마련한 우주특파원 특집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3
명
이 더 따라나섰다. 모두 5
명
이 가가린우주센터에서 함께 있어 지내는동안 힘든 일은 없었다고 한다. 문제는 다음번 훈련 때다. 그땐 말도 안통하는 곳에서 1년6개월 동안(96년 초부터 97년 중순까지 예정) 혼자 지내야 하기 때문이다. 훈련 ... ...
1. 물체를 움직이는 정신작용 염력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이로부터 인간의 몸 주위에는 어떤 종류의 장(生命場)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 생
명
장을 연구해서 초자연현상이 발현되는 원리를 보다 객관적으로 심도 있게 파헤칠 수 있다는 추측이 점점 이론화되고 있다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가설을 더욱 확산시켜보자. 어떤 사람이 장기간 갖고 있던 사물들에는 그 사람 고유의 생
명
장의 흔적이 배어 있을 것이다. 만일 이를 인지할 수 있다면 사물을 통해서 특정 사람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실제로 이런 능력을 보이고 있는 사람들이 계속 보고되고 있으며, 이 현상을 가리켜 ... ...
과학영재들이 제시한 설날 귀성교통난 해결책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맺고자 한다” 는 소감을 적었다.두번째 주제는 암호 해독하기. 암호 해독에 참가했던 한
명
윤양(한성과학고 1년)은 “첫번째 암호는 쉽게 풀었어요” 라면서 “먼저 같은 단어와 많이 사용된 알파벳을 나열해 실마리를 찾았다”고 말했다. 한양은 다음에 또 참가할 수 있다면 다시 한번 와 보고 ... ...
모험 스포츠의 백미 번지점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항공포방어'(counter phobic defence)메커니즘이라는 용어로 적극적인 공포 체험을 설
명
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위험천만한 놀이는 공포와 스릴, 그리고 이를 극복해냈을 때의 희열감을 통해 가장 극적으로 살아있다는 쾌감을 맞보게 한다고 한다.이를 달리 말하면 우리 뇌는 공포를 쾌감으로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우리별2호를 개발하기 위해 고생했음은 물론이다. 인공위성연 구센터 연구원 25
명
과 한국과학기술원의 교수. 학생, 시스템공학연구소 표준과학연구원 국방과학연구원 항공우주연구소 전파연구소 등 국책연구기관이 개발의 주축이 됐다. 또 삼성전자 삼성항공 써니전기 등 8개의 국내업체도 힘을 ... ...
출처 알 수 없는 핵물질 나돌아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갈륨 등의 금속물질이 50g 이상 혼합돼 있었다. 왜 이런 물질이 혼합된 것일까는 설
명
이 쉽지 않았다. 유일하게 일치하는 생각으로는 갈륨과의 합금을 만들면 플루토늄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잘못돼서 폭발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독일의 칼스루에서 연구소는 이 플루토늄이 ... ...
6 MSN 출현, 전세계 PC통신업계 긴장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크다. 윈도95가 윈도3.1만큼 팔린다면 7천만
명
이 잠재 이용자인 셈이다. 이는 3천5백만
명
으로 추산되는 인터넷 사용자수의 2배에 해당하는 수치다.따라서 각국 PC통신업체 및 정보제공회사들은 MSN 대응전략에 부심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아예 합작을 통해 공동사업을 추진한다는 전략으로 ... ...
시민에게 땅을, 도시텃밭을 일구자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이어지고 있다.미국에도 동네정원이 많이 있는데 이미 1983년에 전국적으로 약 3백만
명
의 시민들이 약 1만여개의 동네정원을 가꾸고 있었다. 1983년 뉴욕에서는 4백50개소에 이르는 동네정원 경작자들이 새로운 모임(New York City Neighborhood Open Space Coalition)도 결성했다. 또한 '녹색게릴라'라는 단체도 ...
잠 꼭 자야만 하나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사지가 움직인다. 어린아이에게 주로 발생하고 나이가 들면서 소실되는데 1백
명
중에 한
명
정도는 나이가 들어서도 지속되게 된다. 많은 경우 저절로 없어지므로 심하지 않으면 별 다른 치료없이 관찰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이 질환으로 인해 자신이나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게 될 정도면 약물로 ... ...
이전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8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