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통해 낮은 단계의 미시세계를 관찰하고, 전자현미경으로
점점
아래로 내려간다.
점
진적인 방법을 쓰고 있는 것이다.한편 최근에는 IN-VSEE 프로젝트와 마찬가지로 MICRO 프로젝트도 웹을 이용해서 원격으로 전자현미경을 조종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이를 통해 전자현미경의 원리를 습득하고, 새로운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식물은 지구상에 사실상 제일 먼저 출현한 생물이다. 눈을 주위로 돌려보면 식물에 의해
점
령당하지 않는 땅이 없음을 보고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우리는 식물이 지구상의 어느 생명보다 지혜로우며 외부환경과의 투쟁에서 결코 뒤지지 않는 강력한 생명집단임을 인정해야 한다. 다행히 식물의 ... ...
원숭이인간과 기계인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궁극적인 목표는 인간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감정을 가진 기계일 것이다. 바로 이런
점
에서 우리는 한가지 문제에 직면한다. 감정을 느끼기 위해선 감정을 느끼는 주체인 자아가 선행돼야 한다. 과연 우리는 자아를 가진 피조물에 대해 책임을 질 수 있을까.하나의 인격체로 인정해야 하나1997년 ... ...
풍선으로 만든 축구공 분자모형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점
심 식사 후에 식탁 위에서 종이를 잘라 이리저리 맞춰보다가 바로 축구공의 꼭지
점
이 60개임을 깨닫고, 탄성을 질렀다고 한다.그러니까 ${C}_{60}$은 이 세상에서 가장 작은 축구공인 셈이었다. 이 합성물을 발견한 리처드 스몰리와 로버트 컬, 해롤드 크로토는 이 공로로 1996년 노벨 화학상을 ... ...
지금은 새로운 멸종 시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대한 지구물리 탐사과정에서 운석 충돌의 가능성이 큰 지
점
이 알려지면서 이 이론은
점
차 정설로 인정되고 있는 추세다.6 여섯번째가 시작됐다?1만년 이내에 모든 생물 사라져현재 호랑이는 멸종 위기에 있다. 반달곰도 지리산 부근에만 몇마리가 살고 있는 듯하다. 전 세계적으로도 현재 멸종의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유성우는 복사
점
이 오리온이 휘두르는 몽둥이 부분에 있다. 용자리 유성우의 복사
점
은 당연히 북쪽하늘에 있는 용자리에 있다. 정확히는 용머리 부분에 있다.대부분의 유성우는 혜성 때문에 생기며, 그 원인을 제공한 혜성을 특별히 모(母)혜성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10월에 떨어지는 오리온자리 ... ...
1 탄생 : 원자 주무르는 초소형 로봇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밀려난 이유하지만 SPM이 전자현미경보다 해상도가 높고 영상을 얻는 방법이 다르다는
점
만으로 나노과학의 개척도구로 평가받기는 어렵지 않을까. 전자현미경과는 다른 뭔가가 있어야 하지 않을까.그렇다. 놀라운 해상도는 SPM의 여러 기능 중 하나일 뿐이다. 그렇다면 전자현미경이 결코 모방할 수 ... ...
2 활용 : ③ DNA 임무수행 동영상으로 즐긴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여기에는 쉽지 않은 나노조작 기술이 필요하다. 그런 후 탐침을 시료로부터
점점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여간다. 이때 단백질을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힘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바로 탐침에 부착된 캔틸레버의 휜 정도로 말이다.단백질이 최대로 풀리는 거리까지 탐침을 움직였으면 다시 ... ...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전문가들은 환경보전기술 연구가 기존의 학문과 달리 여러 분야가 접목되는 학문이라는
점
을 고려한다면, 아무래도 학부 때 자신의 분야를 전공한 후 대학원에서 선택하는 길을 추천해준다. 환경보전기술의 주요 연구가 전문화돼 심도 있게 진행되기 때문이다. 이재성 교수는 “학부 때 환경공학을 ... ...
허준은 해부를 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벨기에에서 해부학을 가르치던 교수였다. 그는 갈레노스의 해부학 기술에 많은 의문
점
이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규명하기 위해 시체를 해부하기로 결심했다.그러나 이탈리아에서와 달리 벨기에에서는 해부가 허용되지 않던 시기였다. 하는 수 없이 그는 아무도 몰래 시체를 훔쳐와 해부를 해가면서 ... ...
이전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