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지
보고서
통고
알림
통보
보도
레포트
d라이브러리
"
보고
"(으)로 총 9,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정부, 우주정거장 「프리덤」계획 조정안 승인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m로 짧게하고 우주인 수도 8명에서 4명으로 줄인 조정안을 내놓았다.의회에 제출한 NASA의
보고
서에 따르면, 17차례의 우주선 비행을 통해 프리덤의 실험실과 거주공간이 제작될 것이며, 2천년대에 4명의 인원이 영구거주할 때까지 추가로 6~9차례 있을 왕복선 파견비행동안 인간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 ...
100번 죽이고 101번 고쳐 살고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낮은 것이 약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80년대 들어와서 수천종의 3세대 세팔로스포린이
보고
되었는데 현재 그중 10여종이 상품화돼 있다.80년대 말부터 그람음성균에 잘 듣고 그람양성균에도 강한 항균력을 보이는 4세대 세팔로스포린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조건을 충분히 갖춘 ... ...
4 교수중심의 교실제가 걸작을 낳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학이 개방될 경우 미국대학들의 일본 분교에 밀려날 위기를 맞고 있다는 것이 이 조사
보고
서의 결론이다. 한 우물을 파고지금까지 단편적으로 일본의 기초과학 기술교육의 일면을 살펴 보았다. 일본 이공계 대학의 위기라는 한 분석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일본이 계속 첨단과학 기술교육의 ... ...
타임머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실험에서 어떤 당구공이 자기 위치에서 벗어나 당구공들의 운동이 반대로 진행되는 것을
보고
싶어 자기 자리를 이탈한다면, 당구공이 뒤로 돌아가는 과정은 이 당구공이 빠짐으로써 앞으로 진행할 때의 사건을 똑같이 되돌릴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완벽하게 앞뒤가 원인과 결과로 연결돼 있는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는 통념을 확인하는 한 사례로만 볼 수 있다. 그러나 자신의 미래를 과학기술자로 그려
보고
있는 청소년이라면 전기공학에서 지구과학 물리학으로 자신의 연구주제를 바꿔나가는 바딘의 삶을 보며 한번쯤 '기초과학과 공학연구사이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과학자와 기술자의 삶은 판이하게 다른 ... ...
'볼보'를 만드는 끈기와 정확성의 과학전통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대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을 거친 경험과 웁살라 대학의 생활체험에서 느낀 몇가지를 말해
보고
자 한다.첫째는 도서관 이용의 편리함이다. 각과마다 전공분야별로 도서관을 운영하고 단과대학별 도서관과 중앙도서관이 따로 있다. 중앙도서관의 컴퓨터에는 스웨덴내 각 대학과 연구소의 장서목록이 ... ...
1천9백여개의 망원경 탄생시킨 김한철씨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함) 죽대(대나무통)를 이용해 원시적인 망원경을 만들었다 한다. 이를 통해 달분화구를
보고
아름다움에 도취됐던 것이 첫경험. 그 이후 라디오에 잠시 빠졌다가 파일럿의 꿈을 키워나갔다(일제시대 때 2등활공사 자격증도 획득). 만주 여순공대 입학과 동시에 해방을 맞아 엔지니어로서 대성의 꿈은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일이외에는 도무지 관심이 없었다. 한번은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관해서 책 한권 분량의
보고
서를 만들라는 요구에 다음과 같은 한 페이지의 메모로 답했다. '
보고
:자신있게 나아감.' 그가 태어난 치피와지방의 이름을 따서 '치피와 폭포의 마술사'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다.크레이는 노리스에게 ... ...
색을 구별하는 로봇 탄생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물체를 인식하는 최초의 로봇이라고 주장했다.실제로 지금까지 로봇은 특정한 모양을
보고
원하는 물체를 찾아 왔다. 즉 어떤 물체의 모양과 위치를 3차원 공간의 좌표로 프로그래밍해서 로봇에게 미리 인식시켰다. 그런데 옷과 같은 물체는 아예 고정된 형태를 갖고 있지 않고 보는 위치에 따라서도 ... ...
이상 기후로 지중해 돌고래들 떼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유독성 폴리염화비페닐(PCB) 성분이 혈류에 유출돼 더욱 더 저항력을 약화시켰을 것으로
보고
있다. 기생충이나 PCB, 두가지 바이러스균도 기상학적 요인이 없었다면 큰 문제가 못됐을 것이다. 일정기간의 추위는 양분 생산을 자극하는데, 그간 날씨가 계속 더웠고 비가 오질않아 육지의 유기물들이 ... ...
이전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