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분
실재물
재료
물질문화
문화
방사성물질
방사성
d라이브러리
"
물질
"(으)로 총 8,140건 검색되었습니다.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그 자체가 기본입자라고 알려져 있다.그렇다면 6개의 쿼크와 6개의 렙톤을 규명함으로써
물질
의 근원에 대한 수수께끼가 모두 풀린 것일까? 과학자들은 고개를 젓는다. 쿼크와 렙톤의 수는 그것이 모두 근원 요소이기에는 너무 많으며 또 아직 쿼크와 렙톤의 질량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는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시작되기 전에 존재했던 입자는 오늘날 어디에도 남아있지 않는 것이다. 현재 우주의
물질
은 인플레이션이 끝나고 일어난 상전이에서 생겨났다.인플레이션 우주에서는 팽창하는 거품 저편의 시공은 거품내부의 시공과는 다르다. 거품 저편의 상황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단서도 없다. 그곳에서 ... ...
화학 기본 개념과 원리를 철저히 이해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해서 화학 공부를 다 완성한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된다. 화학에서 취급하는 기본 개념은
물질
을 구성하는 입자들과 에너지와의 관계를 연관지어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깊이 이해하는 일이다. 화학을 이루는 2개의 큰 핵심은 다음과 같다.입자들의 결합→구조→성질연구열 화학→화학 ... ...
생물 암기에 앞서 체계적 이해를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조절은 '조절과 항상성' 단원과 연관이 되며 영양소를 공부하였으면 이는 '원형질의 구성
물질
'과 연관이 된다. 또 혈액에 의한 O₂와 CO₂의 운반 기구는 호흡에서 다루어진다. 이러한 내용들을 단편적으로 알고 연관시키지 못한다면 내용의 체계적인 연관성을 파악하지 못하여, 생물과목이 암기할 ... ...
수산·해양분야의 선구 부산수산대학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것입니다. 수산대학은 어업기술만 가르치는 곳이 아니라, 해저광물 해양에너지 해수용존
물질
해양공간자원 등을 개발, 이용하는데 관련된 제분야를 탐구하는 '해양과학에 관한 종합대학'인 셈입니다." 전공분야 매우 다양해박영호학장의 설명처럼 부산수산대학(釜山水産大学)은 보통사람들이 ... ...
연간 규모 1조원의 전매사업 뒷받침 한국 인삼연초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이외에도 항암효과가 있는 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과 노화를 방지하는 항산화작용
물질
인 페놀계화합물, 진통작용을 하는 피넨성분, 항균 소염효과가 있는 오시멘 성분 등이 있다하여 널리 애용되고 외국에도 수출되어 호평을 받고 있다.연구소에서는 이 인삼의 약리 효능을 지금까지 밝혀진것 ... ...
인공자장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극미량으로 존재하면서 큰 생리변화를 일으키는
물질
이다. 그것은 이런
물질
이 일련의 효소계 활성화를 연쇄적으로 일으켜 일종의 '증폭작용'을 일으키는 방아쇠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져있다. 에너지적으로는 대단히 작은 자장이긴 하나 이상에서 보아온 것 같이 그런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용암이 냉각되면 그 화학적 성질은 변화한다. 기록을 담고있는 가스가 유실되고 기원
물질
의 성분에 대한 비밀은 지워지고만다"는 그들의 표현대로 '신비함'을 그대로 간직한 용암을 확보한다는 것은 쉬운일은 아니었지만 실망을 안겨주지는 않았다.킬라웨어의 용암은 판의 경계상에 있는 화산과는 ... ...
뇌세포의 조율사 꿈은 머리를 좋게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기억이란 것도'뒤집어 생각하면 아민계의 피로
물질
'이라고 할수 있다. REM수면은 그 피로
물질
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충분히 잔 뒤에는 머리가 상쾌해 지는 것이다. 꿈의 계시로 병을 발견꿈은 단지 머리에 좋은 것만은 아니다. 대발견의 힌트나 예술적인 이미지를 부여해주는 경우도 있다. ... ...
과학자·기술자를 지망하는 청소년에게 주는 글 과학공부하는 마음가짐에 대해서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더 이상 연소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 그러나 1778년에 프랑스의 과학자 '라보아제'가
물질
이 타는것은 플로지스톤을 내놓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기중에 있는 산소와 결합하는 것임을 밝힘으로써 플로지스톤 이론은 자취를 감추고 새로운 연소이론이 성립하게 된 것이다, (과학동아3월호 122쪽참조 ... ...
이전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7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