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158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 인정 않던 뇌과학자가 뇌파로 브라질 시축 성공시킨 이유
2015.07.26
뇌파를 측정할 수 있는 모자를 씌우고, 환자가 ‘예’를 생각하면 마우스 커서가
위
로 움직이고 ‘아니오’를 생각하면 아래가 움직이도록 하는 장면이 나온다. 여기에 문진을 통해 환자가 감염된 바이러스의 정체를 알아낸다. 일반인들에게는 굉장히 초보적으로 보이는 수준이지만 저자를 비롯한 ... ...
당근주스, KTX-산천, 나로호…셋의 공통점은?
2015.07.24
놓여 있다. 조 원장은 “1997년 ‘KSR-II’ 발사에서 첫 실패 후 받은 스트레스로 얻은
위
궤양이 평생을 따라다닌다”면서 “나로호가 1차 발사에서 실패했을 때에도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지만 성공하겠다는 생각뿐 포기하겠다는 생각은 들지 않더라”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나로호 후속인 ... ...
[포토 뉴스] ‘뉴호라이즌’이 보낸 두 번째 사진
2015.07.23
년 이상), 오른쪽은 생성된 지 1억 년이 안 된 지형으로 추정된다. 아래 사진은 명왕성의
위
성인 닉스(왼쪽)와 히드라. 닉스는 긴 쪽 길이가 42㎞, 짧은 쪽이 36㎞ 히드라는 긴 쪽이 55㎞, 짧은 쪽이 40㎞로 각각 추정된다. ... ...
세상을 바꾼 50가지
위
대한 빛 기술
과학동아
l
2015.07.22
유용한 기술 50가지를 정리해봤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
위
기사는 2015년 7월호 과학동아에서 발췌한 기사입니다. 더 많은 기사는 과학동아에서 만나보세요. ... ...
인공피부용 재료, 레이저로 간단히 제작
2015.07.19
만든 나노와이어. - 서울대 제공 고 교수는 “여러 종류의 나노와이어를 하나의 기판
위
에서 합성할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며 “나노와이어 기반 소자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고 고감도 센서 제작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ACS 나노’ 6월 2일자에 ... ...
한국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종합 3
위
2015.07.17
제56회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참가해 종합 3
위
를 차지한 한국대표단의 모습.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제공 태국 치앙마이에서 4일부터 13일간 열린 ‘제56회 국제수학올림피아 ... 1988년 호주 캔버라 대회부터 참가해 2012년 아르헨티나 마르델플라타 대회에서 종합 1
위
를 차지한 바 있다. ... ...
‘춤추는 나노입자’를 따라서…
2015.07.17
올해 3월에도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함께 이름을 올렸다. 논문에는 그래핀
위
에서 금속 나노 와이어가 자라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이용해 ‘그래핀 나노 리본’을 개발한 성과가 담겼다. 박 연구원은 “액체 상태에서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직접 관찰한 건 이번이 처음”이라면서 ... ...
꺅! 비명 소리만 들어도 무서운 이유
2015.07.17
자극됐다. 포펠 교수는 “편도체는 즉각적으로 생성되는 감정이나 정서에 관여하는 부
위
”라면서 “편도체가 날카로운 소리에 더 민감한 만큼 비명을 들으면 즉시 공포심을 느끼게 된다”고 말했다. 이석필 상명대 미디어소프트웨어학과 교수는 “비명처럼 고음에 소리의 세기가 강한 경우 ... ...
맨손으로 뗄 수 있는 ‘그래핀 스티커’ 개발
2015.07.15
사용되는 2차원 그래핀은 전력 소모가 적고 효율이 높아 차세대 소자로 활용하기
위
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그래핀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아 산발적 연구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연구팀은 그래핀을 비롯한 2차원 나노소재의 성장 과정을 ... ...
입고 움직이면 방향까지 파악하는 똑똑한 센서
2015.07.14
전자기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권
위
지인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7일자에 게재됐다. 주름진 나노기판 2개를 교차해 만든 변형센서. 변형의 정도뿐 아니라 방향까지 파악할 수 있다. - 서울대 ... ...
이전
786
787
788
789
790
791
792
793
7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