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스페셜
"
저널
"(으)로 총 834건 검색되었습니다.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놀랐다. 수상자 세 명 가운데 두 명이 바로 실험실 커플이었기 때문이다. 부랴부랴
저널
을 꺼내 기사를 봤는데 아쉽게도 기사에 등장한 네 커플 가운데 수상자 부부는 없었다. ‘네이처’가 뜬금없이 이런 기사를 낸 걸 보면 당시 기획자가 ‘촉이 왔던 것’ 같은데, 약간 덜 온 것 같다. 만일 당시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있지만 좀 더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연구도 있었다. 특히 필자는 2012년 한
저널
에 ‘바나나 껍질의 마찰계수’라는 제목의 논문을 발표한 일본의 연구진이 수상한 물리학상에 관심이 갔다. 바나나 껍질이 왜 미끄러운가에 대한 이유를 밝힌 연구라는 것이다.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 ...
"유전체교정 기술로 세상을 바꾼다!"
IBS
l
2014.08.06
'네이처 메서드(Nature Methods)',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Nature Biotechnology)' 등 세계적
저널
에 4편의 논문을 게재했는데, 이 가운데 3월 3일자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 실린 논문은 지난해 국내 연구자가 발표한 5만 4000여 편의 논문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으로 확인됐다. 그는 "3세대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글 앞에 인용한 문구는 캐나다 신경과학자 라젠드라 케일이 1997년 학술지 ‘영국의학
저널
’에 쓴 사설에 나오는 유명한 구절로, 지난 100년 동안 간질(앞으로는 뇌전증으로 쓰겠다)에 대한 연구가 꽤 진행됐음에도 여전히 환자들은 ‘미신과 오명’ 속에 남겨져 있는 현실을 표현하고 있다.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민감성이 아니고 따라서 효과도 없는 식이요법을 한 셈이다.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
’ 6월 23일자에는 글루텐 프리 식품이 실제로 몸에 좋다는 근거가 희박하다는 뉴스가 실렸다. 오히려 탄수화물과 당분의 함량이 높아 비만 등의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은 더 높다는 것. 현재 미국에서만 글루텐 ... ...
단식의 과학
2014.06.16
논문을 봐야할 것 같아 참고문헌을 살펴보니 올해 2월 ‘셀 대사’(‘셀’의 또 다른 자매
저널
)에 실린 ‘단식: 분자 메커니즘과 임상 응용’이라는 제목의 리뷰논문이 보인다. 롱고 교수와 미국 국립노화연구소 마크 맷슨 박사가 공동저자다. 롱고 교수에게 논문파일을 요청하는 메일을 보냈는데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모른다는 연구결과가 잇달아 발표돼 화제다. 지난해 10월 ‘우주론 및 천체입자물리학
저널
’에 실린 논문과 올해 2월 ‘피지컬 리뷰 레터스’에 실린 논문 두 편의 저자들은 플랑크위성이 2009~2013년 관측한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한 결과 불임 뉴트리노가 암흑물질의 구성원이라는 가설을 내놓았다. ... ...
과학기술과 경영 두마리 토끼를 잡아라!
KAIST
l
2014.05.19
익힐 수 있다. 국내에서 손꼽히는 타 경영대학들과 비교하더라도 교수당 평균 SSCI/SCI
저널
논문 게재 수가 높다는 사실 또한 이 학과의 자랑거리이다. 특히 평균 논문 게재 수가 점차 증가하여 재작년부터 미국 대학 톱10 수준의 연구 및 논문발표 실적을 보여주고 있다. KAIST 기술경영학과의 연구 ... ...
집중초음파로 뇌 자극해 촉각을 느낀다
2014.04.09
생성되는 것을 최초로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결과를 담은 논문은 현재 유수의
저널
에 제출되어 게재 여부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라고 한다. 이 연구의 최종 목표에 대해 그는 "아무런 해 없이 안전하게 원하는 자극을 불러낼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며 "예를 들어 헬멧이나 안경을 쓰면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인공손은 표면이 둥글고 매끄러운 금속재질로 접촉면적은 5평방센티미터다. - 신경과학
저널
제공 스웨덴 예테보리대와 살그렌스카대 연구진들은 인공손으로 팔등을 터치할 때 CT의 발화패턴을 측정했다. 연구자들은 먼저 피부온도의 범위(21~37도) 안에 드는 32도일 때 쓰다듬는 속도에 따른 CT의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