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스페셜
"
수상
"(으)로 총 917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각종 분석기기의 사용법과 데이터 해석법을 가르쳤다고 한다. 2010년 노벨상
수상
뒤에도 헤크는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았고 2012년 필리핀인 아내가 먼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여전히 필리핀에서 살다가 마닐라에서 별세했다. 모르긴 몰라도 그는 화학보다 아내를 훨씬 더 많이 사랑했던 것 같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확인됐고, 힉스와 프랑수아 앙글레르는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했다. 1964년 머리 갤만과 조지 츠바이크는 독립적으로 쿼크 개념을 제안했는데(츠바이크는 에이스란 이름으로) 쿼크가 어떻게 양성자와 중성자 같은 입자를 이루는가에 대한 이론적 설명, 즉 양자색역학이 확립되는데 결정적인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나아졌고 이혼 뒤에도 줄곧 내쉬를 돌봤던 전처와 2001년 재혼했다. 그리고 올해 아벨상
수상
자로 선정돼 아내와 함께 노르웨이를 다녀온 뒤 택시로 귀가하는 길에 교통사고로 두 사람 다 사망했다. 예일대 마틴 슈빅 교수는 ‘사이언스’ 6월 19일자에 실은 부고에서 누군가에게 들었다며 내쉬가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가정한다. 특정한 상태에서 빛의 등속을 밝혀낸 이 주장은 이후 실험으로 증명되면서 '특
수상
대성이론(Special Relativity)'이라 불렸다. 그런데 높은 곳에서 두 물체를 떨어뜨리는 실험을 해보면 동일한 순간에 땅에 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진공 상태에서는 깃털과 볼링공도 같은 속도로 ... ...
DNA 복구에 대한 과학자들의 수다
IBS
l
2015.12.29
성과를 활용해 질병 치료 쪽에도 이바지하자는 마인드를 갖고 있다. 연구단은 노벨상
수상
가능성을 얘기하기는 성급하지만, 항암치료 같은 질병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녹색 화학의 선구자 ‘이브 쇼뱅’
2015.12.25
수행하는 촉매를 개발했다. 이 업적으로 세 사람은 2005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수상
소식을 들은 쇼뱅은 자신의 업적은 두 사람에 비해 보잘 것 없다며 부담스러워했다고 한다. 쇼뱅은 1991년부터 1995년 은퇴할 때까지 프랑스석유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시각정보처리 메커니즘을 규명해 1981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허블은 노벨상
수상
강연에서 “체감각피질의 기둥구조 발견은 라몬 이 카할 이후 대뇌피질을 이해하는데 가장 큰 기여를 했다”며 마운트캐슬의 공로를 인정했다. 마운트캐슬은 학과장을 비롯해 여러 학회지의 편집장 등 ... ...
[영화 ‘하트 오브 더 씨’를 보고] 고래 잠수 능력의 비밀은…
2015.12.14
Sea)의 논픽션이 원작이었다. 너새니얼 필브릭이라는 사람이 쓴 책으로 전미도서상까지
수상
한 베스트셀러다.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 ‘바다 한가운데서’라는 제목으로 번역서가 나왔고 절판됐다가 이번 개봉에 맞춰 재출간됐다. 책을 사 읽어보니(영화보다 더 재미있었다) 작가가 어떻게 ... ...
파이(π)와 함께 춤을...
2015.11.23
톰 키블의 논문은 세 번째였고 그래서인지 이들은 2013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지 못했다.
수상
자는 첫 번째 논문의 저자인 프랑수아 앙글레르(공동저자인 로버트 브라우트는 2011년 사망)와 두 번째 논문의 저자인 피터 힉스 두 사람이다. 한 자리가 남아있었지만 세 사람 가운데 고를 수는 없었으리라(2 ... ...
늦잠 자는 이유, 당신 탓이 아니다
KISTI
l
2015.11.17
그는 하루 90분의 짧은 수면시간에도 결코 피곤함을 느끼지 않았다고 한다. 영국의
수상
처칠도 같은 방법으로 하루 4시간 이하로 잤고, 나폴레옹과 발명왕 에디슨도 하루에 4시간 이상 자지 않았다. 반면 아인슈타인은 매일 11시간씩 잤던 늦잠꾸러기로 유명하다. 이렇게 짧게 자고도 괜찮은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