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스페셜
"
세상
"(으)로 총 928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2010년 노벨상 수상 뒤에도 헤크는 미국으로 돌아가지 않았고 2012년 필리핀인 아내가 먼저
세상
을 떠난 뒤에도 여전히 필리핀에서 살다가 마닐라에서 별세했다. 모르긴 몰라도 그는 화학보다 아내를 훨씬 더 많이 사랑했던 것 같다. ※ 필자소개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암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준 ‘크리스토퍼 마셜’
2016.01.04
크리스토퍼 마셜 - 런던 암연구소 제공 앞서 소개한 앨런 홀이 미국에서 갑자기
세상
을 떠나고 3개월 뒤 그의 단짝이었던 크리스토퍼 마셜(Christopher Marshall)이 영국에서 자신이 평생 연구했던 질병인 암으로 사망했다. 1949년 영국 코번트리에서 태어난 마셜은 케임브리지대에서 자연과학을 ... ...
응답하라, 옛날이여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않는 그 순간들을 추억하고 복고하려는 것이리라. 밤이 깊을수록 별은 더 선명해 보이듯
세상
의 변화가 빠르면 빠를수록 '복고문화'와 '리마인드' 문화도 더 심화될 것이다.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3)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밝힌 세포생물학자 '앨런 홀'
2016.01.03
공동연구를 하며 암의 세포생물학을 이끈 중견의 두 과학자가 불과 세 달 간격으로
세상
을 떠나 관련 학계의 동료들을 탄식하게 했다. 미국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의 앨런 홀(Alan Hall) 교수와 영국 암연구소의 크리스토퍼 마셜(Christopher Marshall) 박사다. 앨런 홀/ - 메모리얼슬로언케터링암센터 ... ...
“난 쓸모있는 인간”이라 말하고 싶다면, 당장 OO해라!
2015.12.29
사실은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잘 알려져 있다. 봉사를 함으로써 내가 누군가에게, 이
세상
에 필요로 된다는 소위 ‘쓸모있음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인정 받은 듯한 느낌은 사회적 동물이 가장 갈망하는 욕구 중 하나이다. 스스로가 얼마나 가치 있는 인간인지에 대한 자존감도 타인의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손쉽게 위치를 찾아내고 전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초고속 통신으로 소식을 주고받는
세상
을 누리고 있다. 시간을 파악하고 계산하는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언젠가 타임머신을 타고 미래로 가게 될 지도 모른다. 2015년 올해가 '세계 빛의 해'로 지정된 것에 반대 의견이 없었던 이유다.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것은 전혀 다른 차원이다. 무의미한 듯 보이는 데이터들을 서로 연결시켜 해석할 때,
세상
을 꿰뚫는 통찰이 가능하다. 수많은 데이터의 홍수 속에서 원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보다 데이터를 판별하는 일에 더 집중해야만 한다. 그래서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이라는 정보 ... ...
‘쿠크다스’ 심장 보듬는 칭찬 방법
2015.12.22
서로 가급적 치지 않고 서로서로 테이프 붙여주면서 살면 좋을 거라고 생각한다. 또
세상
사람 누군가 한 명이라도 자신의 장점을 봐주고 좋게 이야기해준다는 건 참 멋지고 고마운 일이고, 장점을 봐 주는 사람이 되는 것도 멋진 일일 것이다. ▶ 필자소개 : 지뇽뇽 ◀ 연세대에서 심리학 석사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9]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0”
2015.12.02
밝고 뜨겁지만 이상하리만치 적막한
세상
. 137억 년 전 우주는 그들 소립자들만의
세상
이었다. 더 이상 쪼갤 수도 나눌 수도 없을 만큼 미소한 이들은 빅뱅과 함께 137억 년 전 존재하기를 시작한다. 하지만 여전히 아무것도 아닌 무명의 것들에 불과했다. 눈부신 태초의 빛이 사위어가며 소립자들은 ... ...
[KSTAR 그것이 알고 싶다 8] 숫자로 보는 핵융합, "-268도"
2015.11.30
0년 만에 인류는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의
세상
을 정복하고 있는 것이다. 그 중심에는
세상
에서 가장 뜨거운 물질을 담기 위해 가장 차가운 그릇을 만든 한국의 핵융합 기술이 있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