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스페셜
"
날
"(으)로 총 1,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게시판] 김주신 전북대병원 前 약제부장 국무총리 표창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26일 식픔의약품안전처와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가 함께 개최한 ‘제34회 세계마약퇴치의
날
기념행사’에서 김주신 전임 약제부장이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고 7일 밝혔다. 김 전임부장은 전북대병원에서 30년 이상 병원 약사로 근무하며 마약류 관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 ...
美 렘데시비르 3개월치 싹쓸이 '전 세계는 코로나 치료제 물량 확보전쟁 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국가 사정에 따라 협상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유럽도 렘데시비르 물량 확보에 나섰다. 이
날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스텔라 키리아키데스 EU 보건담당 집행위원은 길리어드와 렘데시비르 수입 관련 협상을 나눴다. EU 집행위는 이번 협상이 EU 회원국들에 공급할 렘데시비르를 수입하기 위한 ... ...
코로나19 중증 환자 폐 이식 국내 최초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7.02
사망이 예상됐다. 의료진은 폐 이식을 결정했다. 폐 이식은 지난달 20일 오후 3시부터 다음
날
21일 오전 2시까지 진행됐다. 폐이식은 난이도가 높다. 성공률이 70% 정도로 에크모 환자의 경우 50% 정도로 더 떨어진다. 심장, 간 등 다른 장기이식술 성공률이 90%인 것에 비하면 낮은 편이다. 생존율은 5년 50 ... ...
"광범위한 검사가 코로나19 확산 막았다" 이탈리아 도시 '보'의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머물게 할 수도 있는 한편 무증상 감염자는 그들의 생활을 바꾸지 않고 많은 사람을 만
날
수 있다”고 말했다. 도리가티 교수는 “보의 사례는 집단감염을 조기에 찾아내고 적절현 격리를 함으로써 전염병 초기 전파를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최근 새로운 집단감염의 위험과 두 번째 ... ...
나노기술의 최전선을 만난다...'나노코리아 2020 개막'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진단 및 모니터링 기술 등을 다루는 산업기술 심포지엄도 열린다. 나노코리아 2020의 첫
날
기조강연자와 주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개회식 직후에는 연구와 산업 분야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낸 연구자와 기업을 대상으로 한 ‘나노연구혁신상’과 ‘나노산업기술상’ 시상식도 열렸다. ... ...
국내 공급되는 첫 코로나19 치료제 '렘데시비르'는 어떤 약
동아사이언스
l
2020.07.01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 투약기간은 5일이 원칙이다. 첫
날
2회를 투여하고 그 다음
날
부터 하루 1회씩 투여해 5일 간 치료한다. 투약을 5일 더 연장할 순 있지만 전체 투약 기간이 최대 10일을 넘어서는 안된다.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이를 기준으로 메디케어 등 미국 공공 건강보험 가입자에게는 ... ...
사회적 거리두기, 개인주의 성향일수록 참여 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음모론과 가짜뉴스에도 덜 취약하게 만든다”고 밝혔다. 같은
날
요리스 래머스 독일 쾰른대 사회인지연구센터 연구원팀은 사람들이 코로나19 확진자 증가를 ‘선형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내놨다. 실제 전세계 ... ...
미국내 렘데시비르 1병에 62만원 '5일간 맞으면 375만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40세 이하는 회복 기간을 절반으로 줄였지만, 40~65세는 16% 단축하는 데 그쳤다. 같은
날
영국 의학학술지 ‘랜싯’에 발표된 논문과도 같은 결과다. 중국수도의대 연구팀은 중국 내 237명의 코로나19 중증 환자를 대상으로 렘데시비르를 투약하는 무작위대조 이중맹검 임상시험을 한 결과 바이러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는 정말 총천연색을 보고 있을까
2020.06.30
정교하게 볼 수 있다면 데이터 처리에 과부하가 걸리고 정보 과잉으로 오히려 역효과가
날
것이다. 따라서 중심부만을 제대로 보고 주변부는 대충 보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다. 선택적 주의 현상의 대표적인 예인 ‘보이지 않는 고릴라’도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번 실험은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이용해 사람을 찾아 얼굴을 인식한다. 마스크를 써도 식별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추운
날
외부에서 들어온 경우 피부가 일시적으로 차가워져도 이를 스스로 수정하는 기능도 갖췄다. 체온 측정 오차는 0.1도 미만이다. 한 공간에 너무 많은 사람이 감지되면 '사회적 거리두기'가 지켜지지 않는다는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