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스페셜
"
결론
"(으)로 총 79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제공 기초연구를 통해 이듬해 두 사람은 페니실린이 의학적으로 잠재성이 있다고
결론
짓고 대량생산과 정제방법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다. 이들이 다섯 달에 걸쳐 정제한 페니실린은 동물실험용 쥐 몇 마리를 테스트할 수 있는 양이었다고 한다. 그 뒤 환자 6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 ...
임부가 피해야 할 음식들, 정말 먹으면 안 될까?
KISTI
l
2013.09.26
되는 행동은? 임부가 되면 행동의 제약도 많아진다. 파마와 염색이 그 중 하나다.
결론
부터 말하자면 임신 기간 중에는 파마나 염색을 피하는 것이 좋지만, 임신 초에 모르고 했다고 해서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다. 파마약과 염색약에는 다양한 화학물이 포함돼 있다. 파마약에는 머리의 각질을 ... ...
시간과 공간의 관념을 바꾸어 놓은 무선통신
KOITA
l
2013.09.10
그 정도가 전자기파의 신호가 직접 닿을 수 있는 거리라는 것이다. 당시로서는 당연한
결론
이었지만 이래서는 망망대해에 듬성듬성 떨어진 식민지와 함선들을 본국과 연결시키기란 불가능했다. 100여km마다 중계기를 설치해야 한다면 그저 거리 제약이 조금 덜한 광학 신호체계에 불과할 뿐,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정밀하게 조사한 결과 모우드 교수는 이 화석이 현생인류가 아닌 미지의 인류라는
결론
을 내린다. 2004년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이 인류에게 ‘플로레스 섬의 인간’이란 뜻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학명을 붙였다. 모우드 교수는 톨킨 소설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키 작은 ... ...
박테리아로 박테리아 제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5
피해를 주지 않았다. 결국 용병들은 진핵생물은 공격하지 않는다고 6월호 논문에서
결론
을 내렸다. 아직 사람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임상을 시작하지는 않았지만 박테리아 용병은 항생제 내성 병원균을 통제하는 중요한 수단이 될 가능성이 있다. ●성공률 90%에 이르는 분변이식 ... ...
미래 창조산업
KOITA
l
2013.07.31
매우 낮아 향후 창조경제시대에 문화오락 및 레저산업의 성장이 기대된다.
결론
우리나라는 그동안 선진국 추격형 성장모델인 캐치업(catch-up)으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이제는 더는 추격할 선진국이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콘텐츠산업의 경우에도 디지털화로 평가한다면 우리는 세계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분석해 비교했다. 그 결과 이들의 공동조상이 400만~450만 년 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결론
을 얻었다. 아직 화석 증거는 없지만 현재 추정하고 있는 연대와 맞아떨어지는 결과다. 또 이들 사이의 유전적 거리를 비교한 결과 먼저 당나귀와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고 그 뒤에 70만 년 전 종과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
KOITA
l
2013.07.11
수는 없겠지만, 인공위성용 에너지원으로는 태양전지가 가장 훌륭한 해결방안이라는
결론
을 내렸다. 보고를 받은 오코넬은 이를 곧 육군의 로켓개발계획, ‘런치박스 계획’에 적용하기로 했지만 중요한 변수가 생겼다. 육군이 아닌 해군이 미국 최초의 로켓을 발사하기로 결정된 것이다. 당시 ... ...
폐경기 생긴 건 젊은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명쾌하지만, 이게 폐경기의 진화론적 기원을 설명하는데 꼭 필요한 건 아니다”라고
결론
짓고 있다. 정영일 선생이 살아있었다면 이 논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반응하지 않았을까. “당연한 얘길 갖고 뭘 논문까지 쓰고 그러시나. 시간 있으면 영화나 한 편 더 보세요 ... ...
인류 뇌팽창은 전두엽이 주도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17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쓴 바 있다.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우는 내용은 이때의
결론
인 셈이다. 그런데 20여 년 전부터 소뇌의 새로운 기능이 속속 밝혀지면서 이제는 소뇌를 재평가해야 할 시점이라는 것. 즉 운동 조절 기능은 소뇌가 하는 일의 일부일 뿐 오히려 주된 작업은 감각의 통합과 ... ...
이전
74
75
76
77
78
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