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2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늘의 우주과학]"성간천체 오우무아무아, 수소 얼음으로 만들어질 수 없어" 기존 가설 뒤집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8.18
미국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연구센터 공동연구팀이 우주 거대 분자 구름에서
밀도
가 높은 영역에서 수소 얼음이 만들어지는 시나리오를 재검토한 결과 분자 구름에서는 수소 얼음이 만들어지지 않거나 만들어져도 수명이 짧아 태양계 진입 전에 파괴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연구팀은 ... ...
[오늘의 우주과학]급속히 어두워졌던 베텔게우스, 밝기 떨어진 원인은 '먼지 구름'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이용해 베텔게우스를 관측한 결과를 분석했다. 그 결과 지난해 9~11월 사이에 뜨거운 고
밀도
물질이 지구에서 봤을 때 베텔게우스의 남동쪽 표면에서 방출돼 대기를 통과해 간 흔적을 발견했다. 이 물질은 시속 32만km의 속도로 대기중으로 방출됐다. 듀프리 연구원은 “이 물질은 베텔게우스보다 2~ ... ...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커패시터(축전지)다. 배터리보다 충전이 빠르고 수만 회 이상 충전이 가능하지만 에너지
밀도
가 낮은 게 단점이다. 연구팀은 고분자에 금속 산화물 등을 섞어 용량을 10배까지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달에서는 벽돌을 전지로 활용하는 방안이 실제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유럽우주국(ESA)은 ... ...
소행성 '세레스' 땅 속엔 거대한 소금 호수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박(한국이름 박상현) NASA JPL 연구원은 세레스 지각이 물에 의해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차
밀도
가 낮아진다는 분석결과를 내놨다. 돈은 2007년 9월 발사돼 11년간 두 개의 소행성을 탐사한 우주선이다. 2011년 소행성대에서 두 번째로 큰 소행성인 ‘베스타’에 도착해 1년간 탐사 임무를 수행한 뒤 201 ... ...
미 연구진 "코로나19 사태 기후재난 겹쳐 더 악화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8.10
확립하는 게 급선무라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단기적으로는 대피소의 수를 늘려 인구
밀도
를 낮추고 개인간 및 대피소 간 간격을 확보해야 한다”며 “이름과 전화번호 등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공식 정보를 이용해 이재민을 관리해 환자 발생시 추적을 쉽게 하도록 하고, 매일 증상 확인을 하고 ... ...
[프리미엄 리포트] 마스2020 ‘인내’와 ‘끈기’로 흙 가지러 떠납니다
2020.08.08
마실 물도 없고, 대기는 이산화탄소로 이뤄진 화성은 사람이 살 수 없는 환경이다. 대기
밀도
가 낮고 자체 자기장이 없어 우주 방사선에 그대로 노출된다는 점도 문제가 된다. 영화 ‘마션’처럼 인간이 화성에서 오랜 시간 살거나 정착하려면 당연히 물과 공기 등 갖춰야 할 조건이 많다. ... ...
기차에서 코로나19 감염되기 쉬운 자리는 환자 앞자리...감염확률 3.5%
동아사이언스
l
2020.08.03
지리학 및 환경과학부 연구원은 “코로나19 전염병이 발생하는 동안은 승객의
밀도
를 줄이고 개인 위생조치와 마스크 착용, 탑승 전 온도점검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월드팝 총책임자인 앤드류 타템 사우샘프턴대 지리학 및 환경과학부 교수는 “감염 위험은 환자와의 거리뿐 아니라 ... ...
"중성지방 높고 HDL콜레스테롤 낮을수록 남성호르몬 감소"
연합뉴스
l
2020.07.30
콜레스테롤 높여야" 혈중 중성지방 수치가 높고, '좋은 콜레스테롤'인 고
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을수록 남성호르몬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강남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용제·용인 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권유진·원주 세브란스 기독병원 가정의학과 정태하 ... ...
'으르렁'대는 미국·중국도 손잡는 초대형R&D 프로젝트 ITER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0.0003%에 불과한 지구에서는 핵융합 반응을 만들 수 없다. 핵융합 반응은 플라즈마의
밀도
와 온도를 곱한 값이 일정 수준을 넘어설 때 지속될 수 있는데 태양만큼 큰 중력을 얻기 힘든 지구에서는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지구에서 핵융합 반응을 지속하려면 태양보다 훨씬 높은 1억도의 초고온 ... ...
"ITER 장치 조립 착수는 핵융합 에너지 가시화 선언"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정도의 크기로 핵융합로를 만드는 것은 인류가 처음 해보는 일”이라며 “특히 초고
밀도
의 품질이 필요하고 각 나라가 국제협력으로 만드는 데다 기존 장치처럼 ‘표준화’가 안 돼 있다는 점이 큰 어려움”이라고 말했다. 유 소장은 “이를 소통을 통해 매끄럽게 연결시켜 하나의 그림을 그리는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