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어린이과학동아
"
가능성
"(으)로 총 827건 검색되었습니다.
으악! 벽에서 물고기가 튀어나왔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212
이 집을 지었어요.” 닥터고글이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으며 말한다. “그렇다면 우겨 군이 정말로 벽을 뚫고 나오는 물고기를 보았을
가능성
이 있군요.” “네에?” 깜짝 놀라는 차쿠와 표정이 환해지는 우겨 군. “아프리카와 호주, 남아메리카에는 ‘폐어’라는 물고기가 살고 있어요. 이름 그대로 허파가 있는 물고기죠. 현재 전 세계에 6종밖에 남아 있지 ...
화성의 생명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때문이다. 그렇다면 봄이 돌아와 태양빛이 충분해지면 다시 깨어날 수 있을까? 아쉽지만 메모리가 완전히 지워져 작동하지 못할
가능성
이 크다. 그래도 혹시 모르니 잠자는 숲속의 공주처럼 피닉스가 다시 깨어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보자. [소제시작]움직이는 실험실, MSL[소제끝] {BIMG_l10}“피닉스가 곧 작동을 멈춘다니 정말 아쉬워요. 그런데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우주인이 드나드는 통로인 에어록이 없어 문을 열면 바로 조종실과 연결된다. 따라서 조종실 안에 있던 물체가 밖으로 빠져나올
가능성
이 있다. 우주 공간에는 마찰이나 중력이 없기 때문에 물체를 조금만 움직여도 속도가 줄어들지 않은 채 직선으로 날아갈 수 있다. 의혹2 중국 국기가 흔들리는 모습이 보인다. 진공인 우주 공간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소금 법정 대소동(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3
먹으면 고혈압 증세가 더욱 심각해져 목숨까지 잃을 수 있지요. 또한 소금을 많이 섭취하는 어린이가 성인이 되었을 때, 고혈압이 될
가능성
이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어떻습니까? 소금은 이렇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소금을 몽땅 없애야 합니다! 증인 2 미국인 브라운 솔트 씨 저는 미국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있다는 걸 말해 ...
찬 바닷물로 적조 뚝!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29
지름이 달의 7분의 1밖에 안 되지만 메탄,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등의 유기물을 포함한 옅은 대기가 있어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
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천체예요. 이 사진은 지난 2008년 8월 11일에 토성 궤도탐사선인 카시니가 시속 6만 4000㎞로 엔셀라두스를 근접 비행하면서 찍은 것으로, 호랑이 줄무늬처럼 보이는 좁고 긴 협곡이 잘 드러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29
발견되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스쳐 지나가는 화단에서 신종 생물이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아직도 우리 주변에 새로운 생물이 있을
가능성
을 말해 준다. 뱅어포가 신종 생물? 뱅어포라는 식품을 한 번쯤 먹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뱅어포는 흰베도라치의 새끼를 말려서 만든 식품이다. 뱅어포를 만들어 먹은 지는 아주 오래됐지만 뱅어포의 재료인 흰베도라치가 ...
멋진 과학 통행증을 나눠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29
늦더위가 맹위를 떨치던 날, MBC 에서 국민약골로 인기를 끈 이윤석 아저씨가 기운찬 목소리로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에게 인사를 건넸어요. “안녕하세요! 국민약골이라 하시지만 사실 전 보기보다 무척 ... 바로 공부랍니다. 전 여러분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잘하는 사람이 됐으면 좋겠어요. 그래서 사이언스 메세나 같이 여러분의
가능성
을 키워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829
생물을 찾는 과학자들이 가장 눈여겨보는 곳 중 하나가 바로 바다야. 바다는 다양한 생물이 사는데다가 넓어서 새로운 생물을 발견할
가능성
도 높거든. 특히 심해의 열수공 같은 곳은 흔하지 않은 환경일 뿐 아니라 외부와 단절되어 있어서 특이한 생물을 발견하기 쉬워. 수백 ℃의 뜨거운 물이 솟아오르는 열수공은 언뜻 생물이 없을 것 같지만 독특한 생물들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14
경우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뎅기열을 전파하는 흰줄숲모기가 우리나라에도 살고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할
가능성
도 점점 커지고 있다. 천적이 줄었어요~! - 쥐 쥐는 스스로, 혹은 쥐에 붙어사는 벼룩 등을 통해 전염병을 퍼뜨린다. 쥐가 퍼뜨리는 전염병으로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흑사병이다. 14세기 중세 유럽을 덮친 흑사병은 인구의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714
했다. 이렇게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세균을 흔히 ‘슈퍼박테리아’라고 부른다. 항생제를 많이 쓸수록 항생제 내성균이 생길
가능성
도 크다. 그러면 이런 슈퍼박테리아와의 전쟁에 대비해 과학자들은 어떤 무기를 준비하고 있을까? 슈퍼박테리아를 잡는 박테리오파지 과학자들이 슈퍼박테리아를 잡는 새로운 물질로 주목하고 있는 것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박테리오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