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친구"(으)로 총 5,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높아지겠네요. ‘인간, 도와줘’ 물끄러미 바라보며 도움 청하는 개인간의 가장 친한 친구라고 불리는 개는 한술 더 떠 감정도 읽어냅니다. 2016년 국제학술지 ‘영국왕립학회 생물학회보’에 소개된 연구결과입니다. 연구팀은 다양한 품종의 성견 17마리에게 긍정적 감정(행복과 신남)과 부정적 ... ...
- [이달의 책] 수학의 아름다움을 발칙하게 보여주다 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공학수학만을 다루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해요. 조금 더 수학의 본질에 집중하고 싶은 친구들에게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최정담 . KAIST 전산학부 재학 중으로 ‘유사수학 탐지기’ 수학 페이스북 페이지 및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해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를 ... ...
- [화보] 재료 찾는 재미가 솔솔~ 음식나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음식 나라로 떠나볼까요? 칼 워너가 알려주는 음식 나라 만들기 꿀팁! 어수동 친구들, 반가워요! 제 작품을 소개하게 되어 기뻐요. 여러분에게 음식 나라를 만드는 방법을 알려주려고 해요. 여러분만의 상상력을 더해 나만의 멋진 작품을 만들어보세요. 1단계 여러 가지 식재료 관찰하기 가장 ... ...
- [출동! 어수동 기자단] 아슬아슬 균형잡기의 달인! 변남석 밸런싱 아티스트를 만나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보면 경험이 쌓여서 어느 순간 ‘아, 이제 세울 수 있겠다’는 감각을 갖게 돼요. 게다가 친구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나만의 독특한 장기가 될 수 있어요 ... ...
- [몬스터를 잡아라!] 직각, 둔각삼각형 몬스터와 함께하는 땅따먹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 있겠죠? 게임을 직접 해보지 않고는 퀴즈를 풀 수 없으니까요. 둘이서 하는 게임이니 친구나 가족과 함께 게임을 즐겨보세요. 몬스터 잡기 위한 준비운동, 게임 규칙 알기! 매 차례마다 더 큰 삼각형을 만든 참가자가 이기는 게임이에요. 이때 직각 삼각형과 둔각 삼각형만 그릴 수 있어요.더는 ... ...
- [특집]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사는 바닷속도 지도로 그린다는 사실 알고 있니? 이곳엔 많은 해양 생물 친구들이 살고 있고, 지구의 과거 비밀을 캐낼 단서도 들어있거든. 바닷속은 어떻게 지도로 그리는 거냐고? 참고래, 바닷속 지질학자로 변신?지난 2월, 미국 오리건주립대학교 존 나벨렉 교수팀은 인간의 귀에는 들리지 않는 ... ...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하던 게임이 있다. 바로 오목! 연필과 공책만 있으면 누구와도 승부를 겨룰 수 있었다. 친구들과 3번 대결하면 2번 정도 이기는 무난한 실력의 소유자인 하비맨이 국내 랭킹 1위 오목 기사를 만났다. ※ 편집자 주취미를 묻는 질문에 언제나 ‘독서’라고 답하는 독자를 위해 다양한 취미를 소개한다.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7호
-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들어와 봤죠. 당시 폴리매스는 그 어느 때보다 활발했어요. 많은 친구가 문제를 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것이 재미있어 꾸준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Q 문제를 푸는 것과 내는 것 중 어떤 것을 더 좋아하나요? 내는 것을 더 좋아하는 편이에요. 제 다양한 생각을 수학 문제를 ... ...
- [질문하면 답해 ZOOM!] 왜 딸꾹질을 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보아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그럴 땐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 줄게요! Q.왜 딸꾹질을 하나요? 이은성 (eunseongy) A.우리 몸의 횡격막이 경련을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공동 연구의 장점은 연구를 함께한다는 것도 있지만 삶의 희로애락을 같이 하는 좋은 친구를 만나는 게 아닐까 싶다. 또 피카소가 미술이 주는 자유로움으로 황소를 마음대로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었듯, 나 역시 수학이 주는 자유로움 덕분에 복잡한 생명 시스템을 단순하게 바라볼 수 있게 됐다.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