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독일유학일기] 아헨공대 자퇴하고 카를스루에공대로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참고로 독일은 주마다 아비투어 시험 과목이 다르다. NRW에서는 수학과 영어를 포함해 총 네 과목을 보지만, 독일어가 필수 과목이거나 다섯 과목을 보는 주도 있다.AH 성적은 한국의 수능 성적과 달리 한 번 받으면 평생 간다. 잘 보면 좋은 대학 진학은 물론, 이후 대학 변경이나 전과도 쉽다. AH ... ...
- 기후변화를 늦추려는 세계의 노력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와서 산업, 가정, 공공부문 모두에서 인간 활동이 줄어 탄소 배출량이 줄었다면, 결국 총 배출량도 줄어. 즉 단순히 분야별 탄소 배출량을 더해서 탄소 배출량을 표현하는 건 한계가 있어. 따라서 지금보다 조금 더 많은 변수를 고려해야 해 ... ...
- [열혈가족인터뷰] 그린 가디언 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성근이는 집 근처 대화천에서 5개 지점을, 저는 집 근처 굴포천에서 5개 지점을 조사하며 총 10개의 고정 조사구를 일주일 간격으로 탐사했답니다. 그 결과 생태계 교란 식물이 토종 식물의 생장을 심각하게 방해한단 사실을 알아냈죠.Q 와! ‘우점도’라니, 전문가의 향기가 나요!연주 습지 ... ...
- 수리류를 추적하고 지키는 시민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하루에도 수십 km씩 이동하기 때문에 시민과학자들이 모은 자료만으로는 흰머리수리가 총 몇 마리인지 알 수 없었어요. 같은 개체가 여러 번 찍혔거나 놓친 개체도 있을 테니까요. 덴하르트 연구원은 흰머리수리의 비행을 모델링해 시민과학자들의 자료와 비교한 후, 같은 개체일 가능성이 높은 것은 ...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17년 기준 전 세계 육류 생산량은 돼지고기 1억1100만t(톤), 가금류 9050만t, 소고기 6130만t 등 총 2억6280만t에 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 2018년의 육류산업 규모는 약 1001조1293억 원이며, 대체육류 시장 규모는 약 5조64억 원 수준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런 가운데 ‘진짜 고기’를 구현할 수 있다고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말이죠. 정말 할 말이 많습니다. 노르웨이 오슬로대 연구팀이 1348~1813년 발생한 총 9건의 흑사병 사례를 분석했더니 이 중 7건이 쥐에 의한 감염보다 인간 여러분의 옷에 기생하는 벼룩이나 이에 의한 감염일 확률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2018년 국제학술지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도 ... ...
- 조선의 갈릴레오, 장영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물시계를 만들어 선보였다. 그는 큰 항아리 한 개와 작은 항아리 2개, 원통 항아리 1개 등 총 4개의 항아리을 층계처럼 여러 단계로 설치하는 형태를 제안했다. 이렇게 설치하면 늘 물이 가득 고여 있는 항아리에서 물이 떨어지고, 이를 통해 일정한 수압과 양의 물이 흐르게 된다. 장영실의 물시계에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뇌의 비밀 풀 열쇠,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현재까지 시냅스 접착 단백질 연구를 위해, 녹아웃 쥐와 녹다운 쥐 등 형질전환 쥐 총 30여 종을 제작했다”며 “이들을 활용해 시냅스 접착 단백질과 시냅스 생성의 비밀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 ...
- 내 과자, 놓치지 않을 거예요 !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그리고는 갈매기를 쳐다볼 때와 갈매기에게 시선을 주지 않을 때의 상황을 비교했어요. 총 74마리를 대상으로 실험했고, 이 중 19마리가 사람의 눈치를 살폈지요. 그 결과, 갈매기는 사람과 눈이 마주치지 않았을 때는 3~167초 사이에 모두 감자튀김을 가져가려 했어요. 반면, 사람과 눈이 마주쳤을 ...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등 시민과학 플랫폼을 통해 수집한 자료로 서울의 화분매개자 지도를 완성했어요. 총 145명이 촬영한 1897장의 사진을 직접 동정했지요. 빨간색으로 표시된 여의도, 이화여대, 용산 기지 등은 화분매개자가 많이 살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한강변과 주요 도로 주변은 화분매개자가 적어요. 빨간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