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기"(으)로 총 3,89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다. 리히터의 방법이 표준적이기는 하지만, 리히터가 사용했던 지진계가 지진파의 단주기(고주파) 성분만 기록하는 지진계였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다. 지진의 세기가 커질수록 단층면도 커지고 지진파에 포함된 저주파수 에너지도 함께 증가한다. 하지만 큰 규모의 지진은 단층면이 수십~수백 초 ... ...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거리를 알 수 있다는 원리를 이용했다(시간 단위인 1초는 세슘 원자가 내놓는 미세파장 주기를 기준으로 정의했다). 질량의 기준으로 제안한 상수는 양자역학에 자주 등장하는 상수 중 하나인 ‘플랑크 상수(h )’였다. 플랑크 상수는 광자의 에너지를 광자의 주파수로 나눈 양자역학의 기본 상수로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인기 있는 건 도넛이 ‘곡면’의 비밀을 알려주기 때문입니다. 우선 곡면이 무엇인지 살펴보지요. 곡면의 대표적인 예로 지구 표면을 들 수 있습니다. 우리가 사는 지구는 구에 가깝습니다. 지구 표면에 있는 우리 눈에는 주변이 평평하게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둥근 모습이지요. 곡면은 2차원의 ... ...
- Part 3. “화장품, 직접 발라봤습니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보이는 것일 수 있다. 피지가 과도하게 쌓이면 오히려 모공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좋다. 차가운 마스크팩을 썼을 때 모공이 작아지는 것은 일시적인 현상이지 지속되지는 않는다. Q 여드름을 짜고 상처치료제를 바르면 피부에 안 좋은 것인가. A 상처치료제를 바른다고 ... ...
- [Career] 마음먹은 대로 전기 제어하는 마법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높이는 고주파 스위칭 기법을 개발했다. 전력 반도체의 동작 주파수를 높이면 주기당 전압과 전류의 변화가 작아져 인덕터나 커패시터(축전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를 작게 만들 수 있는 셈이다. 연구팀은 LG전자와 공동으로 재질에 관계없이 데울 수 있는 인덕션 히팅 기술도 개발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4화] 지구와 달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근사한 화산을 만들어 볼 수 있답니다. 종이로 틀을 만들고 그 위에 석고붕대를 붙여 주기만 하면 손쉽게 화산이 뚝딱! 물감으로 쉽게 색칠할 수 있어서 나만의 화산을 마음껏 꾸밀 수 있답니다.하지만 화산이 그냥 서 있기만 하면 재미없겠죠? 식초와 베이킹 소다를 화산 모형에 넣으면 실감나게 ... ...
- [과학뉴스] ‘카시니’의 마지막 비행 음악으로 탄생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고리를 이루는 작은 조각들과 주요 위성들은 서로의 중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진 주기에도 수학적 연관성이 있다. 예를 들어, 위성 중 하나인 ‘미마스’가 토성 주위를 2바퀴 돌 때마다 ‘테티스’는 1바퀴를 돈다. 마찬가지로 ‘엔셀라두스’가 2바퀴를 돌 때 ‘디오네’는 1바퀴를 돈다.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핵심이다기자는 올해 1월부터 레이저 제모 시술을 총 7차례 받았다. 얼굴 부위 털의 성장 주기가 약 한 달인 만큼, 이에 맞춰 털의 재생을 방해하도록 4~6주에 한 번씩 시술을 받았다. 다행히 시술을 받은 당일 피부가 잠시 빨갛게 달아오르는 현상 외에는 부작용이 없었다. 따로 약을 바르지 않아도 ... ...
- [SW 기업 탐방] 험온, 콧노래만 흥얼거려도 자작곡 완성~!수학동아 l2017년 10호
- 만들 수 있다. 멜로디를 이상하게 만들어도 인공지능이 그와 어울리는 화음을 만들어 주기 때문이다. 구글의 알파고가 바둑의 기보를 익혔듯 험온의 머신러닝은 수많은 악보를 공부했다. 장르별로 코드가 어떻게 진행되는지 터득해, 장르를 선택하면 그에 맞게 멜로디에 화음을 입혀 반주한다.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일 또한 생각만큼 기괴한 일은 아니었지요. 인공신경망이 아무 문제없이 작동해 주기만 한다면 말입니다. 그런데 아직 구축되다 만 그 두 번째 뇌가, 갑자기 오작동을 해 버린 것이었습니다. 딱 절반쯤 전송이 완료된 상태에서 말이지요. 원래 뇌를 반쯤 꺼버려서 더는 되돌릴 수도 없게 된 시점.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