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하"(으)로 총 2,779건 검색되었습니다.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더 큰 격이다. 이런 상황을 종식시킨 새롭고 강력한 유전자 가위가 2012년 개발된 'CRISPR(이하 크리스퍼)'다. 남궁석고려대에서 생화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미국 예일대와 펜실베니아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연구했다. 현재 충북대 동물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현재 출시를 앞두고 있는 HMD들이 해상도를 낮 은 수준으로 유지하는 건 반응속도를 0.02초 이하로 줄이기 위해서가 크다.반응속도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방법이 없을까. 미 국 IT기업 AMD에서는 최근 ‘리퀴드 VR’이라는 새로 운 기술을 도입해 반응속도를 0초에 가깝게 줄이겠 다는 포부를 밝혔다.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크랩스터는 부력 탓에 수중 무게가 200kg으로 줄어드는데, 헤엄칠 때는 이의 4분의 1인 50kg 이하로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는 크랩스터를 진수하기 전 사람 손으로 부력재를 붙인다. 그러나 수중 모드 전환은 시간 문제다. 전봉환 실장은 "부력조절장치를 탑재해 물 속에서 자유자재로 헤엄치다가 ... ...
- 피곤한 투수, 팬들은 불안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4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이들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메이저리그와 마이너리그의 25세 이하의 젊은 투수 700명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직전 해보다 이닝과 투구수가 20% 증가했을 때 부상이 늘어나는 경향은 없었다. 다만 이 조사를 무턱대고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는 없다. 불펜 투수만을 대상으로 한 ... ...
- 그 여자, 그 남자의 사정 [1]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아니다…. 아니, 좀 바란 것 같기도 하다. '난 남친이 있고 너와 난 직장 선후배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야'라는 느낌을 팍팍 풍기며 아무렇지 않은 척 쾌활하게 얘기하며 식사했지만, 사실 이성간에 흐르는 그 기묘한 기류를 나도 몰랐을 리 없다. 일기장에서조차 모른 척 할 뿐. 침대에 엎드려 이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 스웨덴의 유럽 5개국이 힘을 합쳐 만든 거대망원경으로, 2m 이하인 작은 안테나 2만 5000여 대가 곳곳에 퍼져 있어요. 전 지역을 연결한 원의 지름은 무려 1000km에 달한답니다. LOFAR는 파장이 미터(m) 단위인 긴 전파를 집중적으로 잡아내요.센티미터(cm) 길이의 파장은 ... ...
- 영종대교 차량 106대 추돌 사고 원인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되었어요.사고가 커진 이유는 짙은 안개 때문이에요. 안개는 습도가 높고 기온이 *이슬점 이하일 때 수증기가 뭉치면서 생겨요. 영종대교는 주변이 바다인데다가, 사고 이틀 전인 9일에 많은 눈이 내려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은 상태였어요. 여기에 사고 전날 기온이 5°C 이상 갑자기 올랐다가, 밤새 ... ...
- [수학뉴스] 눈맞춤 기술로 자연스러운 셀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나의 눈’은 정면이 아닌 다른 곳을 향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최근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하 ETRI)에서 눈맞춤이 가능한 영상 기술을 개발해 화제입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셀카는 물론, 화면 끊김 현상이 없이 상대방과 눈을 맞춰가며 영상회의를 할 수 있다고 합니다.지금까지는 대부분 화면의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지상 최고의 사냥꾼으로 만들어준다. 같은 날 오후에 방문한 충남 야생동물구조센터(이하 구조센터)에서는 비행의 필수 요소인 날개와 깃털을 직접 보고 만질 수 있었다.늦은 오후 구조센터에 들어서는 순간 왠지 모를 강력한 눈빛이 기자를 쳐다보는 것을 느꼈다. 과연, 입구에선 매, 황조롱이,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필즈상보다 더 권위 있는 상으로 통한다. 필즈상은 앞으로의 활약이 기대되는 만 40세 이하의 젊은 수학자를 위한 상이지만, 아벨상은 수학자가 평생 동안 쌓아온 업적을 인정해 주는 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아벨상 수상자는 대부분 나이가 많다. 내시 교수는 만 86세, 니렌버그 교수는 만 90세다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