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도다기능줄기세포, 광우병 논란 1위 선정돼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HR 8799’라는 별 주변을 돌고 있는 행성 3개를 촬영했다. 또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진
은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지구에서 25광년 떨어진 곳에 있는 남쪽물고기자리 1등성 포말하우트 주변을 도는 포말하우트b라는 행성을 촬영했다.암 게놈 연구약 2년 전 처음 시작된 암 게놈 해독 프로젝트가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8호
차선 색을 바꾸는 신기한 도로도 연구됐다. 프랑스의 교통공학 회사인 유로비아의
연구진
들이 2008년 개발한 도로용 페인트는 기온이 1℃ 아래로 떨어지면 원래 색상인 흰색에서 분홍색으로 확 변한다. 따뜻한 차 안에 있어서 기온이 내려간 것을 잘 모르던 운전자들도 도로의 색을 보고 길이 얼었을 ... ...
21세기를 위협하는 전염병의 역습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4호
항생제에 죽지 않는 내성균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심지어 얼마 전에는 하버드대학교의
연구진
이 항생제를 먹고 사는 세균을 발견하기도 했다. 이렇게 항생제에 내성을 지닌 세균을 흔히‘슈퍼박테리아’라고 부른다. 항생제를 많이 쓸수록 항생제 내성균이 생길 가능성도 크다.그러면 이런 ... ...
‘다이아몬드 손’ 가진 과학자 최희욱 교수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때 고국의 지도교수가 옆에 있으니 학생들로서는 행운인 셈이다.“그런데 2000년 미국의
연구진
이 로돕신의 구조를 밝힌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다들 감탄하며 실험을 재현해봤지만 되지 않더군요.” 당시 박사 후 과정으로 미국에서 일하던 일본인 오까다 박사가 이 실험을 주도했는데 논문에는 ... ...
[IT]고대 로마가 구글어스에 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있으며 공회당을 위에서 내려다볼 수도 있다.고대 로마의 3D 영상지도를 제작하기 위해
연구진
은 ‘플라스티코 디 로마 안티카’라는 고대 로마 모형을 기초로 삼았다. 고대 로마 모형은 1933~1974년 고고학자와 모형제작자가 만들었고 지금까지 로마문명박물관에 소장돼왔다.프로젝트를 이끈 ... ...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생활하는 동물이 고대 유물을 훼손한다는 연구로 고고학상을, 프랑스 툴루즈 국립수의대
연구진
은 개벼룩이 평균 30cm를 뛰어 고양이 벼룩(20cm)보다 약 10cm 더 높이 뛴다는 사실을 규명해 생물학상을 받았다. 옥스퍼드대 심리학과 찰스 스펜스 교수는 ‘바삭’하고 씹히는 소리가 더 좋은 감자칩이 더 ... ...
서울대 ‘논문왕’서 은메달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휴대할 수 있어 위험을 막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현재 이 교수팀은 서울대 의대
연구진
과 공동으로 빛을 에너지원으로 삼아 작동하는 휴대용 바이오센서를 개발하고 있다. 이 센서는 환경호르몬 등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퇴행성 신경질환을 일으키는 오염물질을 감지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 ...
몸에서 에너지 뽑는 인간발전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군중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방안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됐다.2007년 미국 MIT 건축학부
연구진
은 걷거나 뛸 때 바닥으로 전달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군중발전소’를 제안했다.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역이나 쇼핑몰 같은 곳에 군중발전소를 설치하면 ‘공짜’ 에너지가 펑펑 솟을 ... ...
[화학]가스하이드레이트의 치환 반응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변화가 지각 변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조사도 병행해야 한다. 최근 국내
연구진
이 이산화탄소와 질소와의 혼합기체를 가스 하이드레이트에 공급해 메탄과 직접 맞교환하는 기술을 개발해 특허출원을 했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해저층의 붕괴 없이 가스 하이드레이트로부터 메탄을 직접 ... ...
KSTAR 최초 플라스마 발생 실험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상태에 도달하는데 아무 결함이 없었던 것. 플라스마 발생 실험의 ‘8부능선’을 넘은
연구진
은 여세를 몰아 5월 말까지 초전도 자석에 전기를 공급하는 실험을 일사천리로 마치고, 6월 13일 최초 플라스마를 발생시키는 데 성공했다.그 뒤 한 달 동안 반복 실험한 끝에 최고 플라스마 전류 133kA.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