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원"(으)로 총 6,796건 검색되었습니다.
- [핫이슈] 가장 정확한 인간 게놈 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8이 갖고 있던 수천 개의 구조적 오류도 수정했다. 이 논문에 참여한 이아랑 미국 NHGRI 연구원은 지난 4월 4일 동아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컨소시엄에서 확보한 기술로 지금은 수 주 내로 인간 유전체를 정확히 확인하는 게 가능하다”며 “미래에는 하루 만에 100만 원 이하로 자신의 유전체를 ... ...
- 완치자는 아직 시달리고 있지만… 코로나19 후유증 특별한 건 아니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나갈 수 있으며, 후유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니엘 쳐토우 NIH 수석연구원은 “코로나바이러스는 이렇게 퍼진 뒤 쉽게 사라지지도 않았다”며 “심지어 한 장기 조직에서는 230일이 지난 뒤에도 RNA가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또 지난 4월 13일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팀은 코로나19 ... ...
- [특집] 데이터가 보여주는 식량 위기의 이유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물가는 2012년 8월 대비 대부분의 곡물에서 10~20% 비싸다. 이에 대해 김종진 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시와 현재의 곡물 수입가는 비슷해도 곡물 물가 이외에 유류비, 인건비 등 당시보다 유통비용이 크게 늘어 일어난 현상”이라며 “국내에 유통되는 곡물 물가는 국제 곡물 물가 이외에 다양한 ... ...
- [기획] 핵폐기물 어디에 버릴까, 미래 세대를 위한 처분장 후보 4가지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비용이 매우 비싸다. 라그랑주 점 L4와 L5는 지구에서 무려 약 1AU 떨어져 있다. 강 책임연구원은 “L5까지 보내는 발사 비용이 지구 저궤도로 보내는 비용의 20배 이상 들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비용 문제가 있어도 라그랑주 점은 여전히 가능성 있는 곳으로 꼽힌다. 실제로 권오준 KAIST 교수가 ... ...
- [융복합@파트너] 우리 몸속의 시계, 일주기 리듬으로 더 나은 사회 만든다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다들 한 번쯤 늦잠 때문에 수업이나 약속에 늦은 기억이 있을 겁니다. 저도 그런 학생 중 하나였죠. 도대체 잠이라는 게 무엇이길래 내 인생에 이렇게 지장을 주는 걸까. 이런 고민이 일주기 리듬에 대한 관심의 시작이었죠.” 동물 행동과 일주기 생체시계 연구실을 이끄는 최한경 대구경북과 ... ...
- [수학뉴스] 휴대전화 데이터, 지원 사각지대를 막는다!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약 13만 7,000명이 지원 혜택을 받았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에밀리 에이켄 캘리포니아대 연구원은 “이 프로젝트는 위기 상황에서 휴대전화 데이터 같은 빅데이터를 구호 활동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라고 설명했어요.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3월 16일자에 실렸습니다 ... ...
- [기획] 텅 빈 집, 사라진 꿀벌. 도와줘, 매스비!수학동아 l2022년 05호
- 여기도 빈집이네. 벌집에 꿀도, 꿀벌도, 애벌레도 거의 없어. 내 조사대로라면 전국 양봉장에서 약 78억 마리가 넘는 꿀벌이 사라졌다고! 전체 꿀벌 중 약 15%가 사라진 셈이야. 이대로라면 꿀벌은 곧 멸종하고 동식물도 하나씩 사라지고, 인간까지 위험할 거야. 안 되겠어. 아무래도 내가 나서야겠어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귀여워요. 궁금해요!김나경 어린이 Q 이 생물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배윤혁 매미 연구원 이 생물은 딱정벌레 유충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동정을 하려면 유충이 더 자라야 합니다 ... ...
- [시사과학] 일촉즉발! 우크라이나, 전쟁 위기에 처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러시아는 약 13만 명의 병력을 우크라이나 국경에 집결시켰습니다. (2월 15일 기준) 우크라이나도 이에 맞서며 전쟁 위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해외 언론에서는 이 같은 사태가 냉전 이후 최대의 위기라고 평가했지요. 전문가들은 주변국들 사이에 낀 우크라이나의 상황이 마치 우리나라와 비슷 ... ...
- [기획] 2030 달 찍고 화성 간다! 아르테미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5호
- 이곳은 2030년 건설될 달 남극 기지. 1969년 달에 첫발을 내딛었던 인류는 이제 달 뒷면에 기지를 짓고 거주까지 할 예정이에요. 2022년에 첫 발사를 시작한 아르테미스 미션으로 달 궤도 정거장부터 달 기지까지 지을 거예요. 이곳 달 기지는 저기 보이는 화성에 가기 위한 전초기지랍니다. 우주를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