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내방
인사이드
안
알맹이
안면
d라이브러리
"
안쪽
"(으)로 총 1,561건 검색되었습니다.
짜릿한 롤러코스터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트로코이드 곡선이라고 부른다. 사이클로이드와 모양이 조금 다른 곡선이 그려진다. 원
안쪽
의 점이 그리는 곡선은 사이클로이드 곡선보다 완만한 곡선이 된다. 반면 원 바깥의 한점이 그리는 트로코이드 곡선은 사이클로이드 곡선보다 위아래 움직임이 큰 모양이다. 아하! 생각이 쑥쑥! 직선보다 ... ...
디지털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홍채만 구별해 저장해야 하는데 이때 수학을 이용한다. 검은 동공과 홍채의 경계(
안쪽
경계)와 홍채와 흰자위 경계(바깥쪽 경계)의 위치를 계산해, 정보를 확인하고 문을 열어 줄 대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때문이다.홍채인식기는 홍채의 모양이 원모양이라는 가정에 따라 경계선의 위치를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나갔고(따라서 세포끼리 닿아 있는 세포벽이 확연이 드러납니다) 배를 감싸고 있는
안쪽
세포벽의 주름이 보입니다. 이런 망상(罔象) 구조는 최소한의 재료로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때 이용되지요.아주 작은 씨앗의 경우 이처럼 종피의 바깥쪽 세포벽이 떨어져 나간 경우가 많은데, 씨앗 무게를 ... ...
[통합과학] 유전정보의 변화와 표현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슬을 이루고 있는 당-인산 골격은 나선 구조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두 사슬의 염기들은
안쪽
에 놓여 있다. 특히 두 사슬의 염기들은 서로 마주보며 수소결합에 의해 쌍을 이루고 있다. A는 항상 T와 쌍을 이루고 있으며, G는 항상 C와 쌍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A와 T, G와 C사이의 결합은 항상 상대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❺ 셀로판테이프를 이용해 부채꼴 모양으로 잘라낸 공CD를 과자 상자 옆면 1×1cm 구멍의
안쪽
에 붙인다. 이때 부채꼴 모양의 호가 과자 상자 옆면의 짧은 쪽에 가도록 붙인다.❻ 과자 상자 가장자리의 틈을 마스킹테이프로 막는다. 공 CD 부분에 눈을 대고 광원과 틈을 일치시켜 스펙트럼을 관찰한다※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동작하는 동안에는 열리지 않는다. 이 안전 도어는 10㎏ 이상의 드럼세탁기가 문
안쪽
에서 최대 67뉴튼 이하의 힘으로 열 수 있도록 하는 국제 안전 기준을 따른다.최근 우리나라의 기술표준원에서도 세탁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드럼세탁기 안에서 문이 열릴 수 있도록 국가표준규격을 바꾸었다.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약 10개가 땅속에서 퍼져 자란다. 하나당 길이가 30~40cm, 지름이 약 20cm다. 껍질은 갈색이며
안쪽
은 노란빛이 도는 흰색이다. 덩이뿌리에 타피오카(20∼25%)가 들었고 칼슘과 비타민 B와 비타민 C도 풍부하다. 끼니를 때우기에 충분하다는 얘기다.나이지리아, 잠비아 같은 아프리카와 인도네시아, 태국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로리체르는 첨탑을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한 책을 냈어. 정사각형 각 변의 가운데를 이어
안쪽
에 새로운 정사각형을 만드는 방법이지. 특별한 공식이나 계산없이 반복만으로 첨탑을 설계할 수 있었어.유럽의 대성당과 같이 큰 건물은 수십~수백 년에 걸쳐 짓는 일이 많았어. 앞 세대에서 첨탑을 ... ...
PART 3 수학으로 커보이게 만들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토대가 휘었으니 그 위에 기둥을 세우면 기둥은 바깥으로 기울고 말아. 그래서 기둥은
안쪽
으로 조금씩 기울여 세웠어.기둥의 높이는 모두 같기 때문에 기둥사이에 걸쳐 놓은 대들보와 지붕도 가운데가 조금 들려 있어. 이렇게 가운데를 위로 들어 올리면 긴 건물의 가운데가 처져 보이는 ... ...
입체도형과 착시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찍었을까? 정답은 시선의 방향을 교묘히 이용한 착시다. 모서리 한 부분을 자르고
안쪽
에 안 보이는 모서리가 보이게 시선의 방향을 맞춰 촬영한 것이다. 우리 주변에는 이렇게 도형과 관련된 여러 가지 착시가 있다. 착시는 주변의 상황에 따라 원래의 모습과 다르게 보이는 현상이다. 한 마디로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