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드러나지 않고 마음속으로 여러 번 기도를 하거나 특정한 단어를 외고, 끊임없이 숫자를 세는 사람도 있다. 극심한 불안을 없애기 위해 자기만의 특정한 의식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불안이 사라지는 것도 한순간일 뿐, 곧 또다시 불안해지므로 의식을 반복해야 한다.그 이유는 강박증이 뇌가 ... ...
- Part 3. 수학으로 만든 보드게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보드게임은 마방진에 기반을 둔 빙고 게임이다. 빙고를 맞추면 마방진이 되도록 설계된 숫자 카드를 이용한다. 이어 해밍부호를 적용한 보드게임도 개발했다. 바로 ‘짝꿍을 찾아라’다.컴퓨터는 정보를 2진수로 보낸다. 전송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없다면 정보를 정확하게 해독할 수 있지만, 어떤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입력했을 때 약 79%의 정확도로 사실인 문장과 팩트 체크가 필요한 문장을 구분했습니다.숫자만 출력했던 클레임버스터는 최근 좀 더 정교해졌 습니다. 프로젝트를 이끌고 있는 미국 텍사스대 컴퓨터과 학및공학과 쳉카이 리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최근 주어진 문장을 사실과 대조하는 기능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방식입니다.음악가들의 암호 만들기앞서 태연은 겹치는 알파벳의 혼동을 막기 위해 로마숫자로 힌트를 줬지요. 프랑스의 작곡가들은 조금 다른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일례로 프랑스 작곡가 아르튀르 오네게르는 #(샵)과 ♭(플랫)이라는 임시표를 이용했습니다. 오선지는 옥타브를 나타낼 수 있다는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공통된 인수가 없다)이고, 이 수를 비로 나타냈을 때 값이 황금비(1.618)와 비슷해요. 숫자가 커질수록 황금비에 가까워집니다.만약 처음 두 항을 2와 1로 바꾸면 어떨까요? 이 수열 역시 ‘루카스 수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정도로 유명해요. 이처럼 피보나치 수열의 규칙을 따르면서 초기 두 항을 ... ...
- 수학명언 책갈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무량대수’, 그리고 무량대수보다 0이 32개 더 많은 10100을 구골이라고 해요. 이 거대한 숫자에 이름을 지어준 사람이 명언의 주인공 에드워드 카스너입니다.카스너는 위대한 수학자 다비드 힐베르트의 제자로 미분기하학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긴 수학자예요. 과학에 비하면 수학은 오히려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같으면, 그쪽으로 주사위를 90° 굴려 움직인다. 단 상하좌우에 별이 나타나면 주사위 숫자와 상관없이 별칸으로 갈 수 있다. 이런 규칙 아래서 끝까지 가는 가장 짧은 경로를 찾아야 한다.왼쪽 미로는 아주 쉬운 롤링 큐브 미로로, 주사위를 요리조리 굴리다 보면 금세 답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많아졌다. 나는 이래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마음 속으로 중얼중얼 방정식을 읊고 그 숫자를 열심히 계산하면서 모든 잡념을 잊겠다고 생각했다.그러나 그럴 수가 없었다. 그녀를 볼 때마다 그것은 실패했다. 잊겠다던 잡념은 잡념이 아니라, 내 삶에서 가장 중요한 생각이었다. 그냥 보고 있기만 ... ...
- ‘고딩 힙스터’의 인디 쏭 발굴기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채우기나만을 위한 음악을 추천하려면 컴퓨터가 내 취향을 알아야겠지. 컴퓨터는 나를 숫자로 인식해. 예를 들어 멜론에 혁오의 ‘와리가리’와 송대관의 ‘네 박자’, 볼빨간사춘기의 ‘좋다고 말해’가 있다고 해보자. 나는 힙스터니까 혁오에 ‘좋아요’를, 송대관에 ‘싫어요’를 줬고 ... ...
- 수학은 외계어!수학동아 l2017년 04호
- 하나씩 늘어나는 모습을 통해 숫자라는 것을 알려준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서 외계인이 숫자를 아는 지적 생명체인지 알 수 있다.다음은 덧셈, 뺄셈 같은 간단한 산수를 가르친다. 이때 ‘질문과 답’, ‘맞다와 틀리다’ 같은 개념도 알려줄 수 있다. 부등호로는 ‘크다와 작다’와 같은 개념 및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