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이용할 줄 알아야 합니다.“해당분야 최신 연구주제 공부해야”(D 연구원. 국내 대학 이론물리학 전공 박사과정)국내 대학의 일부 교수님들이 자신이 박사과정 때 하던 연구만 주로 하면서 세계적인 추세를 따라가지 못하는 게 사실입니다. 박사후과정을 외국의 좋은 그룹(leading group)으로 가려면 ... ...
- [과학뉴스] 아카이브(arXiv)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학, 물리학, 천문학, 컴퓨터과학, 통계학 분야 등의 ‘출판 전’ 논문을 수집하는 비영리 웹사이트다. 미국국립과학재단(NSF)의 지원을 받으며 코넬대가 1991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최근 송유근 UST 박사과정 연구원과 박석재 한국천문연구원 전 연구위원이 이곳에 올린 논문이 표절 의혹을 받으면서 ... ...
- [과학뉴스] 외계행성 1284개 무더기 발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주에서 외계행성 1284개를 새로 발견했다고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5월 11일 밝혔다. 2009년 발사한 ‘케플러우주망원경’을 이용해 찾아낸 외계행성 후보 4302개를 ... 있는지를 밝히는 데 꼭 필요한 정보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 5월 10일자에 실렸다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것이라고 보더라도 이를 A로 볼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C의 주장은 부당하고, C에게 노벨물리학상 시상을 거부한 노벨 재단의 조치는 정당하므로 C의 청구를 기각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체 플랫폼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보았다. 인간 행동에 대한 진화 과학이 부딪히는 가장 큰 어려움은 다른 과학, 이를테면 물리학이 봉착하는 어려움과 매우 다르다. 진화 사회과학이 내놓는 설명은 대부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진짜 어려움은 사회가 생각하지 말라는 것들을 생각하기 때문에 생긴다. 고결한 이타적 ... ...
- PART 2. 호기심에서 재미찾다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김제원 한의사수학아카데미는 2008년 이종필 고려대 전기전자전파공학부 연구교수의 입자물리학 강의로 시작됐다. 강의를 듣던 한 백북스(독서모임) 회원이 일반상대성이론을 제대로 알 수 있게 고등학교 수학부터 가르쳐달라고 제안했고, 이 교수가 이를 수락하면서 현대 과학을 수학으로 공부하게 ... ...
- [News & Issue] 지구의 노래를 들어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깊숙한 지구 내부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아드휴인 박사와 함께 연구한 프랑스 지구물리학연구소의 루이스 구알티에리 연구원은 e메일 인터뷰에서 “X선으로 인간 몸 안을 보는 것처럼 지진파로 지구 내부를 볼 수 있다”며 “특히 험은 초저주파라 에너지 감쇄가 덜하고 다른 지진파의 영향을 덜 ... ...
- PART 1. "나는 1년 계약직 과학자 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연구교수는 “한 분야를 꾸준히 연구하는 사람이 사라졌다”고 말했다. “우리나라 이론물리학계는 미국의 명문대에서 만든 유행을 쫓아가기 바쁩니다. 그런데 유행이란 게 사실 돌고 돕니다. 과학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독립적인 연구를 하도록 지원하는 일본을 보세요. 어떤 세부 분야라도 최소 ... ...
- [수학뉴스] 파도, 이제 두렵지 않아~!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덮칠지 알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최근 이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영국 물리학 학술지 ‘뉴저널오브피직스’ 3월 11일자에 실렸습니다.독일 올덴버그대 풍력에너지 연구팀은 갑자기 거대 파도가 나타날 확률을 보여주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연구팀은 통계학을 이용해 일본 ... ...
- [재미] 도넛처럼 생긴 적혈구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덕분에 좁은 모세혈관을 지나갈 때는 빈대떡처럼 유연하게 찌그러집니다.프랑스 렌느1대 물리학과 이자벨 칸타 교수는 이 과정을 수학적으로 밝혀냈습니다. 적혈구가 모세혈관을 지나가면서 유연하게 모양을 비틀어야 할 때 소비하는 에너지에 주목한 것이지요. 칸타 교수는 적혈구가 이 에너지를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