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섭섭박사와 함께 그래비트랙스 200%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달 시계 11월 15일자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시간에는 오늘 밤 하늘에 뜰 달 모양을 알려주는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를 만들 거예요. 함께할 친구들은 어과수 홈페이지에서 신청해 주세요.선발된 친구들은 매일매일 오늘의 달 시계를 만든 뒤, 꼭 기사로 써 주세요!•신청 기간 2021년 10월 2 ... ...
- [기획] 모두 함께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발사체생산팀 이원철 수석연구원은 “누리호 엔진에 들어가는 배관의 양도 많고, 굴곡진 모양도 많아 조립하기 쉽지 않았다"며 “조립하기 위한 도구들을 직접 만드는 등 20년 이상 항공기 개발에 경험을 쌓은 엔지니어분들이 힘을 합쳤다”고 말했습니다.이외에도 KAI는 엔진의 연료를 담는 추진제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0호
- 작용은 암석을 이루고 있는 광물의 성질이나 배열을 바꾸기도 합니다. 압력에 의해 판 모양으로 눌리기 때문에 주로 볼 수 있는 무늬는 줄무늬입니다. 또, 변성암에서는 루비, 사파이어, 에메랄드 등의 보석이 발견되기도 하죠.변성암은 대부분 지하 깊은 곳에 있지만, 지표면에도 분포합니다. 지표면 ... ...
- [기상 인터뷰] 이런 머리로 날 수 있었을까? 큰머리 익룡!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잘 보이기 위한 용도일 수 있다고 말했어.나아가 공작이나 원앙처럼, 성별에 따라 볏의 모양이 다른 ‘성적 이형성’이 나타났을 수도 있다고 추측했어. 살짝 다르게 생긴 볏을 가져서 친척으로 알려져있던 다른 익룡 ‘투판닥틸루스 임페라토르’가, 사실은 투판닥틸루스 나비간스와 같은 종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십 리도 못 가서 쥐가 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있어요. 그리고 이 마디마다 액틴과 미오신이라는 단백질 섬유가 마치 손가락 깍지를 낀 모양을 하고 있죠. 근육을 수축하라는 신호를 받으면 액틴이 미오신 사이로 더 가깝게 미끄러져 들어가, 마디 사이의 간격이 줄고 근육의 길이가 짧아집니다. 반대로 근육이 이완할 때는 액틴이 다시 ... ...
- [이달의 과학사] 통조림을 쉽게 여는 특허 나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통조림을 여는 ‘트위스트 키 오프너’ 방법으로 특허를 받습니다. 통조림에 달린 열쇠 모양의 따개를 돌리면 통조림 옆이 벌어져 쉽게 열렸죠. 이외에도 끌을 닮은 것, 원형 칼날이 달린 것 등 다양한 종류의 통조림 따개가 나왔어요. 현재 우리가 쓰는 당기면 뜯어지는 원터치 통조림은 미국 ... ...
- [헷갈린 과학] 하나는 두 가닥, 하나는 한 가닥?DNA VS RNA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9호
- 적 있나요? RNA는 뭐고, DNA와는 무슨 차이가 있는 걸까요? DNA머리카락의 색부터 발톱 모양까지, 우리 몸의 모든 정보를 담고 있는 물질을 ‘유전 물질’이라 불러요. 우리 몸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유전 물질은 DNA입니다. DNA는 ‘디옥시리보핵산’의 준말로, 세포의 핵심 기관인 세포핵 속 ... ...
- [특집] 꿀렁꿀렁~, 얼음이 국숫발처럼 구부러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두고, 바늘에 2000V(볼트)의 전기를 흘렸지요. 그러자 수증기가 바늘 끝으로 모여 실 모양으로 얼기 시작했어요. 수증기를 이루는 물 분자는 극성●을 띠고 있어 전기장에 이끌리거든요. 그렇게 만든 가느다란 얼음 실로 탄성을 실험했죠. 구부러지는 얼음의 탄성은 어느 정도인가요?얼음 실은 180° ... ...
- [기획] 우주 승객 ‘블롭’,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빠른 만큼 실험 도구에서 쉽게 탈출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색깔은 노랗고, 모양은 스크램블 에그처럼 아무렇게나 생겼으며, 촉감은 슬라임처럼 끈적한 생명체. 지구의 생명체라고는 믿기 어려운 ‘황색망사먼지’를 여러분에게 소개합니다! 블롭의 ISS행은 외계생명체가 고향으로 가는 꼴? ... ...
- [기획] 프랑스 어린이들의 실험은 우주급?!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8호
- 주기에 미세중력이 영향을 준다는 게 1980년대에 밝혀졌거든요. 황색망사먼지의 움직임과 모양은 이런 수축 과정에 따라 달라진답니다. 실험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무엇을 배우길 원하나요?학생들이 과학에 참여했으면 좋겠어요. 구체적으로는 실험을 계획하는 방법, 실험을 운영하는 방법,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