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머리"(으)로 총 4,2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있는 영재성을 발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는 겁니다.” 2017년 3월 부임한 이 원장은 머리 좋은 학생만 골라서 가르치지 않는다고 분명하게 밝혔다.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에서는 두 가지를 많이 강조한다. 첫째, 호기심을 많이 가질 것. 둘째, 호기심이 동하면 바로 해결하려고 할 것. 이 ... ...
- 함께해서 즐거운 수학, 팀 매스 챔피언십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대회에서는 대부분 문제를 두세 문제씩 나눠 푸는 전략을 선택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머리를 맞대고 한 문제씩 빠르게 해결하는 조, 각자 풀면서 못 푼 문제를 찢어서 다 푼 조원에게 주는 조도 있었다. 이천시 효양중학교 1학년 김지태, 최재석 군은 포개져 있는 종이의 순서를 구하는 문제가 풀리지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있거나 둘 중 한 가지 상태여야 한다. 그런데 살아 있으면서도 죽어 있다니. 이쯤 되면 머리 속엔 온통 물음표가 떠오르며 양자역학이 아닌 내 지식의 불완전함을 의심하게 된다.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은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입자인 원자로 구성돼있다. DNA, 세포막 등 우리 몸은 물론, 아침에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24차원 문제도 풀 수 있겠다며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5명의 수학자가 일주일 동안 머리를 맞댄 결과 24차원 문제도 단박에 풀어버렸죠. 최영주 포스텍 교수는 “필즈상은 중요한 난제를 풀거나 문제를 푸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해야 받을 수 있는데,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굉장히 어려운 문제를 ... ...
-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1살이 되는 ‘모가래로 로보트’이야. 여기 목 아래론 기계와 결합된 사이보그지. 내 머리 앞쪽에 들어 있는 특별한 칩 덕분에 10배 더 빨리 기억할 수 있단다. 넌 어떤 사이보그니?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사람이야? 로봇이야? 호모 사이보그Part 1. 호모 사이보그, 인간 + 기계Part 2.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목표로 하는 미래 기술로, 사람의 뇌에 주사하는 그물 모양의 전극이에요. 주사기로 머리에 뉴럴 레이스를 넣으면 뇌 안에서 넓게 그물처럼 펼쳐져요. 그러면 이 그물이 뇌의 신경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고, 반대로 컴퓨터의 전기신호를 뇌로 전달할 수도 있어요. 쉽게 말해 머릿속 정보를 컴퓨터로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성장을 도왔던 것처럼, 현역에서 은퇴한 뒤 중국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내 미래의 모습이 머리를 스쳐 지나갔다. 이것이 2018년 현재 베이징에 위치한 칭화대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하게 된 계기다. 필자는 연세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992년 삼성전자 반도체연구소에 입사했다.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키의 절반쯤 되는 높은 상자 앞에서도 망설임 없이 훌쩍 뛰어 오르더니, 두 다리를 머리 위로 넘겨 한 바퀴 공중돌기로 멋지게 바닥에 착지한다. 체조 기술 중 하나인 백플립(backflip)이다. 후들거리는 다리는 어느 새 안정되고, 두 팔을 위로 쭉 뻗는다. 완벽한 성공이다. 다이내믹스가 2004년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남대 마이크로의료로봇센터장이 이끄는 연구팀은 관절치료용 미세 로봇을 개발했다. 머리카락 5개 굵기 정도인 270μm 크기의 이 로봇에는 줄기세포가 탑재됐다.로봇이 손상 부위에 도착하면, 그곳에서 줄기세포를 연골세포로 분화시켜 연골을 재생할 수 있다. 표면에 자석이 부착된 구조로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한다. 그래서 선수들은 경기중에도 머릿속으로 수없이 많은 경우의 수를 찾는다. 머리 쓰기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포커만큼 흥미로운 게임도 없다. 승리했을 때 상금은 덤이다. 세계적으로도 포커는 오랜 공부와 전략 연구가 필요한 두뇌 스포츠로 인정받는다. 프로 포커 플레이어도 직업의 하나로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