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
스승
선생님
스승님
d라이브러리
"
교수님
"(으)로 총 88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 환경지킴이 3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생태학을 전공했어요. 이 분은 자문을 맡고 계신 바르셀로나대 생물학과 후안 리타
교수님
이십니다.메뇨르카는 발레아릭주를 구성하고 있는 4개의 섬 중 하나입니다. 1993년 메뇨르카를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으로 지정할 때 반대의 목소리도 많았어요. 1980년대 이후 관광이 이곳의 주요 수입원이 ... ...
사실이야? 진짜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거꾸로 날기, 물건을 이용해 갈매기 쫓아내기 등 독특한 생활습관을 발견해 냈지요.
교수님
이 발견한 또 하나의 특이한 습성은 바로 속임수를 쓴다는 것이었어요. 도래까마귀들은 한 곳에 먹이를 숨기는 척하다가 실제로는 다른 곳에 먹이를 숨기는 기발한 속임수를 쓴답니다.▶속여야 살아남는다 ... ...
철새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궁금증을 풀기 위해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감염내과의 김우주
교수님
을 찾았어요. 김우주
교수님
은 조류독감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 계시는 전문가예요.Q
교수님
, 우선 독감(인플루엔자)에 대해서 우리 친구들이 알기 쉽게 설명 좀 해 주세요.A 병을 일으키는 수많은 바이러스 중 하나예요. 독감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인한 슈퍼 태풍이 등장하게 될지 알아보기 위해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홍성유
교수님
을 만나 보자.태풍을 주무르는 손은 바로 나!우리나라가 북태평양 고기압의 영향 아래에 있으면 저기압인 태풍은 중국으로 빠져 나가요. 반대로 북태평양 고기압의 세력이 약하거나 일본 쪽에 치우쳐 있다면 ... ...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3호
구멍을 내려고 괭이를 산 기억도 있지. 학창시절에는 늘 건성으로 공부하는 것처럼 보여
교수님
은 나를 게으른 개라고 부르기까지 했단다.히틀러와 원수사이?별명 얘기를 하니 괜히 얼굴이 붉어지는구나. 다른 궁금증은 없니?독일의 히틀러 있잖아요. 히틀러가 박사님을 싫어해서 현상금까지 걸면서 ... ...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아는 사람이 없다”고 말했다. 장성(KAIST 물리학과 2년) 씨도 “같은 물리학과에 있는
교수님
들 이름도 다 알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스타 물리학자가 나올 때도 되지 않았는가. 다들 시기가 무르익었다는 데는 동의한다. 하지만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김성원 교수는 “영화 한 작품을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물리를 전공했다. 그러다 대학원 때부터 흥미를 느껴 시작한 것이 천문학이었다. 학부 때
교수님
을 따라 천문대에서 별을 관측했던 경험이 컸다. 그래서 그는 지금도 학부 학생들에게 관측의 기회를 많이 주려고 한다. “천문학은 한국이 세계적으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는 분야 중 하나”라고 그는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0호
꿈을 심어 주고 각자의 자질을 개발해서 크게 자랄 수 있도록 열심히 도와 주고 싶어요.”
교수님
은 생활에 도움이 되는 학문을 하기 위해 화학을 공부하고 있고 실제로 다양한 분야로 응용되는 초분자 물질을 만들고 있습니다.“물이 끓어서 수증기가 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그저 우리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말씀하세요.친구들도 세상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과학을 공부해 보고 싶지 않나요?
교수님
의 말씀처럼 성실하게 세상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과학을 열심히 공부하는 친구들이 많이 생기면 더 살기 좋은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한 신입생이 “고등학교 때 미분을 안 배웠다”고 말했다. 사학과 2학년 김진욱 씨는 “
교수님
이 한숨을 내쉬고 커피를 마시고 나서야 강의가 다시 시작됐지만 수업 수준이 고교 수학으로 후퇴했다”고 아쉬워했다. 대학가에 불어온 미적분 대란올들어 국내 대학들이 ‘미적분 대란’을 겪고 있다.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