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공개하는 연습을 해보길 바랍니다. 디지털상에서든 오프라인에서든 디자이너는 결국 ‘메이커’가 돼야 합니다. 그것을 지속적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디자이너로서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좋든 싫든 대중을 두는 건 당신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당신이 더 나아질 수 있게 도와줍니다. Make ...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넣을 때 한 단층면에서 작은 지진들이 발생했고, 작은 지진들이 일어나며 쌓인 에너지가 결국 큰 지진을 일으키며 파이프를 끊었다고 추정한 거예요. 결론은 촉발 지진!이런 증거를 통해 정부조사연구단은 포항 지진이 ‘유발 지진’이 아닌 ‘촉발 지진’이라고 결론 내렸다. 여기서 유발 지진은 ... ...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엄청 달궈지더라고요. 지붕이 발사하는 태양열을 온몸으로 받는 극한 체험을 했어요. 결국 햇빛을 반사할 수 있는 재료를 사서 지붕에 씌웠더니 낮잠을 잘 수 있었죠. 반사재만으로도 기온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걸 깨달았어요. 지금 십년후연구소가 ‘쿨루프’ 프로젝트를 시작한 계기 중 ... ...
- 박휘이따고훼서 곡종헸는대? 맞춤법 틀린데 해석이 되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후기에서 나온 단어고, 시옷과 쌍시옷 간에 유사성이 있다는 등의 기타 정보가 합쳐지면 결국 ‘숙소’의 잘못된 표현이라는 사실을 인식한다. 이 과정이 여러 번 반복되면 이후 우리 뇌는 문장을 읽을 때 단어의 정확성을 따지는 역치를 낮춘다. 쉽게 말해 다음부터 읽는 문장은 오타일 가능성을 ... ...
- [모기 박멸 카운트다운] 누가 모기 소리를 내었는가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결국 불을 켰다. 두리번두리번, 그런데 모기가 보이지 않는다. 분명 '왜애애애앵' 소리가 났는데 말이다. 어딘가에 숨은 모기가 날 보고 비웃고 있는 건 아닐까. 분하다. 여름밤 단잠을 깨우기나 하는, 1도 도움 안되는 모기는 이 세상에 왜 존재하는 걸까. 아프리카에서는 모기 박멸 작전이 시작됐다고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있다. 김 연구원은 “과거 미국과 유럽도 왕모기를 사육했지만 방제 구역이 워낙 넓어 결국 단시간에 멀리 살포되는 화학적 방제를 선호하게 됐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방제 구역이 비교적 좁아 생물학적 방제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볼바키아 박테리아 심은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지마가 최초로 인식했던 수영장 타일의 색이었지요. 예술적 영감의 근원을 찾아가다가 결국 자신의 근원에 도달했던 것입니다. 카운트 제로에서 상자를 만든 인공지능은 과거에 대한 그리움에서 영감을 받아 작품을 만듭니다. 상자를 보면 아련하고 슬픈 느낌이 든다는 건 창작자의 의도가 제대로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모래알이 몇 개 모여야 더미일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다르게 생각할 수 있고, 한국의 물리학자와 한국의 화학자가 다르게 생각할 수 있지요. 결국 다양한 국적과 학문의 과학자들이 모래를 아무리 연구해도 합의에 이르지 못할 겁니다.과학자들이 합의에 이르지 못하는 까닭은 간단해요. 그것은 ‘모래더미’라는 것이 사람의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기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벚꽃 흩날리는 봄날엔? 기타 줄을 춤추게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아래로 빛 정보를 읽는 사이, 빠르게 돌아가는 프로펠러는 이미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요. 결국, 한 장의 사진에 처음 모습의 프로펠러와 움직인 이후 모습의 프로펠러가 합쳐지면서 이상한 모습의 프로펠러가 나타나는 것이죠. 그래서 셔터의 속도를 조절하면 롤링 셔터 효과가 더 강하게 나타나기도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담당하는 변수들이 이 과정을 통해 계속 업데이트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결국 고양이와 강아지 사진이 많이 입력돼 학습을 열심히 한 신경망 프로그램은 나중에 어떤 사진을 보더라도 사진 속 동물이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잘 알아볼 수 있습니다. 이를 바로 ‘딥러닝(Deep Learning)’이라고 ... ...
이전7475767778798081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