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헬스
튼튼
건전
몸상태
d라이브러리
"
건강
"(으)로 총 3,291건 검색되었습니다.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방대한 인류사이기도 하다. 우리가 지금 사실이라고 믿는 명제도 언제든 틀릴 수 있다.
건강
과 행복을 위해 무엇을 믿고, 무엇을 믿지 말아야 할까. 책에서 단서를 얻어 보자. “나치 전범은 악마 같은 사이코패스였을까” 8월 12일 미국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백인 우월주의자들의 대규모 ... ...
[Career] 스마트폰으로 피부암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파장별 피부 정보를 수집한다. 촬영한 정보를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면 피부의
건강
상태가 5초 만에 나타난다. 황 교수는 “데이터가 쌓일수록 진단의 정확도가 높아진다”며 “피부암 등 다양한 질병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지루성 피부염 진단 정확도 80%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목표는 마고!
수학동아
l
2017년 09호
” “좋아지기 위해서는 불쾌함을 겪어야 할 때도 있지. 이 정도 불쾌함은 소소한 거야.
건강
에는 아무 영향이 없으니까 염려 마. 내가 신경 써서 만들었거든. 며칠 있으면 수상자로 인공지능센터에 견학을 가지? 그때 그 안에서 이걸 함께 간 친구의 음료수나 음식에 넣어라. 한두 방울 정도면 돼. ... ...
[과학뉴스] 프린터로 출력한 종이칩으로 질병을 진단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진단 시약과 반응한답니다.신관우 교수는 “종이칩으로 혈액 속 포도당인 혈당과 신장의
건강
상태를 알아보는 요산의 농도, 알츠하이머 환자에게 나타나는 뇌 물질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며, “비싼 장비와 전문 인력이 없어도 실시간으로 질병을 진단할 수 있어 빈민국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 ...
[Focus News] ‘살충제 계란’ 공포, 계란 계속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사실을 모른 채 계란을 먹어왔다는 점이다. 오랫동안 살충제가 포함된 달걀을 먹어서
건강
에 문제가 되지는 않을까. 홍윤철 서울대 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현재 검출된 5개의 살충제 중 플루페녹수론을 제외한 4개는 반감기가 7일 이내여서 최대 한 달이면 대부분의 성분이 몸 밖으로 빠져 ... ...
[Issue] 내 똥이 ‘약’이 되는 똥 이식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든 채소와 과일을 많이 먹으라”고 조언했다. 쓸모없고 더러운 것으로 버려졌던 똥이
건강
을 되찾고 목숨을 살리는 일등공신이 될 날이 다가오고 있다 ... ...
[Culture] 명상과 전두엽의 과학적 관계
과학동아
l
2017년 09호
국내에서는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이 발효됐다. 해외에서는 청소년의 인성교육과 정신
건강
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명상에 주목한다(doi:10.1007/s12671-013-0215-9). 명상은 부정적인 정서를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윤택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최근에는 뇌과학이 발달하면서 명상의 효과가 ... ...
[Issue] 돌보다 강한 콘크리트 아파트, 40년 만에 다시 짓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꾀하고 있다.최근에는 산업부산물과 폐기물 자원을 재활용하거나, 전자파와 오존처럼
건강
과 환경을 해치는 물질을 차단하는 친환경 콘크리트도 개발되고 있다. 다양한 색깔을 띠거나 반투명해 빛을 투과시키고, 광섬유나 섬유를 혼합해 원하는 모양대로 구부릴 수 있는 콘크리트도 탄생했다. ... ...
[과학뉴스] 장수 정자가
건강
한 자손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정자의 수명이 자식의 생식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와 스웨덴 웁살라대 공동연구팀은 수명이 긴 정자는 수정 성공률이 높고 자손의 생식력도 더 높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10일자에 밝혔다. 한 번의 사정에서 나온 정자의 생식력은 같다고 알 ...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
과학동아
l
2017년 08호
고행을 하다 깨달음을 얻었다는, 기원전 288년에 심어진 마하보디 사원의 보리수나무
건강
도 FRI가 책임지고 있습니다.연구원들이 연구하는 분위기는 자유로운 ‘편’입니다. 민족이나 신분제도에 따른 차별이 겉으로 드러나는 것은 없지만 대대로 산림 공무원을 배출하고 있는 만큼 위계가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