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면
지침
지상
그라운드
땅
장소
근거
d라이브러리
"
지표
"(으)로 총 1,119건 검색되었습니다.
옛지도
과학동아
l
199503
가장 큰 특징은 지도에 '백리척'이라 부르는 제척(梯尺)을 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지표
의 여러 지점간의 거리와 방위가 정확하고 지도의 모든 부분의 축척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정상기가 만든 일부 지도에는 좌표가 표시되어 있기도 하다. 실제로 각도별 지도를 이어서 오차없이 ... ...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
과학동아
l
199503
대기인 것으로 생각되며, 자기권 내의 다른 지역보다 극히 낮은 온도를 가지고 있다.
지표
면에서 가장 가까운 전리층은 지상 1백㎞ 정도에 위치하며 그 존재는 1900년대 초부터 알려졌다. 단파 등을 이용한 원거리 통신에 유요한 매체로 사용돼 왔다.지금까지 설명한 우주 플라스마가 우리에게 과학적 ... ...
뿌리깊은 나무, 땅속 물질순환에 중요 역할
과학동아
l
199503
이하로 깊은 뿌리가 물의 순환에 공헌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또 상록수림에서
지표
에서 1m보다 깊은 부분 흙에 포함된 탄소량은 지상 식물에 함유된 탄소량보다 많아 동위체로 조사해본 결과 땅속 탄소의 15% 정도는 1년에서 수십년에 걸쳐 교환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상록수림에서는 ... ...
지진징후 5가지 현상
과학동아
l
199503
단층대에서 암석에 균열이 일어나고 전체 부피가 늘어나게 한다. P파의 속도가 줄어들고
지표
면은 위로 올라오며 라돈가스가 방출하고 전기저항이 떨어진다. 이 근처에서는 미소지진(微少地震)의 발생률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셋째 단계에서는 물이 주위 암석으로부터 작은 흡수공이나 미소한 ... ...
1. 온실기체 계속증가, 당분간 상승추세
과학동아
l
199502
간접적으로 대기와 열과 수분을 교환한다. 또 강수를
지표
수와 지하수로 분산함으로써
지표
환경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천문학적 기후변화 요인태양의 11년 주기변동태양 활동의 변화는 그 주기가 비교적 짧고 또 이 주기 동안 지구로 들어오는 태양 에너지양의 변화가 매우 적기 ... ...
2. 온난화현상 일시적-곳곳서 빙하기 조짐
과학동아
l
199502
있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사이의 패널(IPCC)에서 기후학자들은 21세기 중반
지표
온도 상승이 1.5-4.5℃에 달하리라 예측하고 있다.그러나 지구 역사를 통한 온도의 기록은 빙하지역이 확장되고 지구 온도가 곤두박질치는 빙하기가 우리 세대 어느 때라도 시작될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 ...
아기염소 세마리 거느린 카펠라
과학동아
l
199502
5등급으로 꽤 어둡다.그러나 이 유성우는 종종 밝은 '화구'(fireball:보통 별똥별보다
지표
가까이 떨어지는 유성체)를 동반하는데, 일반적으로 화구 가운데 사람의 그림자를 드리울 만큼 밝은 것도 나타난다. 유성이 가까이 지나가는 경우 우리는 낮은 굉음을 들을 수 있으며, 어떤 사람들은 이 소리가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01
주위에 쌓여 점점 높아져서 산체를 이룬 것을 말하나, 넓은 의미의 화산은 마그마가
지표
로 분출되는 곳이다.화산체의 형태와 구조는 분출하는 용암의 점성, 화산 쇄설물과 용암의 비율 및 화산활동상에 따라 달라진다. 즉 용암의 점성이 작고(반면 유동성은 커진다) 용암의 양이 화산쇄설물에 비해 ... ...
2 IQ 검사 왜 하는가
과학동아
l
199501
검사의 결과를 나타내는 수치에 불과한데도 일반적으로는 머리의 좋고 나쁨을 나타내는
지표
같이 여겨지고 있다.지능을 파악한다는 것이 어떤 일인가를 생각해보자. 회사에는 여러 사람이 있다. 같은 일을 맡겨도 척척 해내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꼭 실패하는 사람도 있다. 흑은 한 업무에 대해 ... ...
21C 100대 한국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501
탐사는 지하 심부에 부존하는 잠두광체(concealed orebody)의 탐사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표
에 노출된 광체의 노두에 대한 지질탐사는 국내에서도 거의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 이와 관련한 기술로 '지하 지질구조와 잠두광체의 부존 유무를 탐사하는 기술'이나 '백악기 화산암 분포지대에 부존 ... ...
이전
74
75
76
77
78
79
80
81
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