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자"(으)로 총 18,9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뱀의 비늘을 가진 로봇이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뱀은 다리가 없이도 땅 위, 좁은 틈, 언덕 등 다양한 지형을 미끄러지듯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요. 또한 움직일 때 소리가 크지 않아서 사냥을 할 때 유리하지요. 그렇다면 뱀처럼 움직이는 로봇을 만든다면 어떨까요? 로봇이 여러 장애물을 자유자재로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재난현장 등에서 유용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우주에 끝이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우리가 우주의 끝에 가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거기서 우주 밖으로 손을 뻗으면 어떻게 될까요? 이런 질문은 기원전부터 이어져 왔어요. 기원전 로마의 철학자인 루크레티우스는 이 질문에 답을 하기 위해 하늘을 향해 화살을 쏘는 생각 실험을 해 보았답니다. 하늘의 끝, 우주를 향해 화살을 쏘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체험도 하고 글쓰기 실력도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청송으로 여행을 다녀왔어요. 청송에선 자연의 신비인 ‘꽃돌’을 볼 수 있었어요. 기자단 친구들에게 꽃돌이 무엇인지 소개하려고 해요. 땅속의 뜨거운 마그마가 지표면을 뚫고 올라올 때, 마그마의 중심부와 바깥 부분의 식는 속도가 달라 다양한 꽃무늬가 만들어져요. 국화, 민들레, 카네이션, ... ...
-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삐릭, 삐릭’안녕, 나는 평창동계올림픽을 빛낸 군집드론 ‘슈팅스타’야. 지금 뭐하는 거냐고? 나와 친구들이 힘을 합쳐서 아주 멋진 작품을 만들고 있지! 우리가 이렇게 여럿이 일을 하는 비결이 뭐냐 하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뭉쳐야 뜬다! 군집로봇Part 1. 평창 밤하늘에 ... ...
- Part 1. 평창 밤하늘에 별빛을 수놓은 군집드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짜잔~. 이게 너희가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때 봤던 수호랑이야. 나 혼자라면 수호랑을 만들지 못 했겠지만 친구들과 함께라면 다양한 모양을 만들 수 있지. 자, 이번엔 하트를 만들어 볼까? 모여야 빛이 나는 군집드론2018 평창동계올림픽 폐막식 현장. 캄캄해진 밤하늘에 불빛이 반짝이기 시작했 ...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으랏챠차! 안녕, 나는 키바라고 해. 나와 수천 대의 내 친구들은 무려 100kg도 넘는 크고 무거운 선반을 이고 물류 창고를 돌아다니지. 하지만 우린 절대 부딪치지 않아. 어떻게 그게 가능하냐고? 이게 원하시는 선반인가요?현재 가장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군집로봇은 ‘키바(KIVA)’예요. 키바는 ... ...
- Part 5. 바다와 논밭을 누빈다! 농수산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힘든 농사일도 우리가 도와 줄게!농업 역시 군집로봇이 활약할 수 있는 대표적인 분야예요. 경작, 모내기, 수확 등 시기별로 작업이 정확히 이뤄져야 하고,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기 때문이지요. 유럽의 개방형 로봇 개발기구인 ‘이코드++(ECHORD++)’는 농업 분야를 위한 다양한 군집로봇 프로젝트 ... ...
- [화보] 비둘기의 알록달록 반전 매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비둘기 하면 무엇이 떠오르나요? ‘회색’, ‘닭둘기’, ‘더러움’과 같이 주로 부정적인 의미의 단어들이 생각날 거예요. 하지만 도시가 아닌 자연에 사는 비둘기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보다 훨씬 다양한 모습을 하고 있답니다. 알록달록한 깃털과 뿔을 닮은 머리 위의 털, 몸의 점박이까지 ... ...
- [이달의 사물] 평양냉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4월 27일 판문점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열렸을 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가져온 평양냉면이 화제였습니다. 면발이 쫄깃쫄깃하고 질겨 가위로 잘라 먹게 되는 함흥냉면과 달리, 평양냉면은 이로 뚝뚝 끊을 수 있을 만큼 부드러운데요. 도대체 어떤 차이가 있는 것일까요? 답을 먼저 말하자면 메 ... ...
-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뇌세포 중 신경세포 주변에 있는 비신경세포들이 운동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다. 이창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경교세포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윤보은 단국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비신경세포 중 가장 많은 별세포가 소뇌의 운동 ... ...
이전7847857867877887897907917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