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학"(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피드와 마찰의 조화, 스키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논란이 많다. 하지만 근래 인정받고 있는 것은 마찰에 의한 융해설이다. 케임브리지 대학의 바우덴 교수는 스키와 눈 사이의 마찰계수를 0.05로 하고 스키가 1cm 달릴 때 발생하는 열을 계산한 결과, 그 열로 인해 수 미크론 정도의 물 층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확인했다. 눈과 닿는 플레이트 표면에 ...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과학동아 l2000년 01호
- 한민족의 전통적인 종교 상징물인 솟대,장승,서낭당 등이 북아시아의 여러 지역에서 비슷한 형태로 발견된다.이들이 제작된 시기를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다만 고대에 한반도와 북아시아에서 동일한 무속 문화가 널리 퍼져 있었으리라 짐작한다.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살아온 세계에 익숙해져 ...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과학동아 l2000년 01호
- 동물은 또 있다. 꾀가 많기로 유명한 여우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독일의 브라운슈바익 대학의 뤼펠박사는 북극의 야생동물을 관찰하기 위해 산 정상에 텐트를 설치했다. 영리한 북극여우들은 새로 이사온 이 이웃과 금방 친해져 텐트 가까이 찾아왔다. 뤼펠박사가 손을 내밀어 치즈조각을 주면 얼른 ... ...
- 일찍 일어날수록 기분이 나빠진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게 일반적 상식. 그런데 이와 상반되는 연구결과가 나왔다.최근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의 안젤라 클로우 교수팀은 42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기상 시간과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연구했다. 지원자들이 일어나는 시간은 오전 5시 22분에서 10시 37분까지 다양했다. 연구진은 이틀 동안 하루 8회씩 ... ...
- 침팬치는 진화해도 인간이 될 수 없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컴퓨터를 이용해 말하는 법을 가르치려는 노력들이 있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언어학자인 놈 촘스키는 “말이란 사람에게만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 이에 대해 테라스라는 학자는 촘스키의 주장이 일부 틀렸다며 ‘님 침스키’란 침팬지가 사인(신호)으로 의사를 표현했다고 ... ...
- 300년만에 풀린 최석정의 마법진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이지원씨는 수학과는 크게 관련이 없는 생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다.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분자생물학으로 석사를 마치고, 기초과학지원연구소에서 4년째 근무하고 있다. 다만 우연히 접하게 된 지수귀문도에 관심을 가지면서 마법진에 손을 대게 됐고, 지금도 순전히 일과 후에 취미로 마법진을 ... ...
- 디지털로 세계를 묶은 인터넷과학동아 l1999년 12호
- 1천배나 빠른 인터넷2와 차세대인터넷(NGI) 개발이 한창이다. 인터넷2는 정보통신업체와 대학이 추진하는 계획이고, 차세대인터넷은 클린턴 정부가 1996년부터 추진하는 계획이다 ...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전극을 마주보게 넣고 필라멘트를 가열해 만든 것이다. 1946년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존 모클리와 프레스퍼 에커트가 개발한 세계 최초의 전자식 컴퓨터인 에니악이 바로 이 진공관을 이용한 컴퓨터다. 당시 1만8천개의 진공관을 지니고 있었던 에니악은 무게가 30t, 면적이 1백35m².필라멘트와 ... ...
- 초상화는 왜 왼쪽얼굴인가과학동아 l1999년 12호
- 그려졌다는 것을 확인했다. 80%든 97%든 한국의 초상화에서 왼쪽 측면상에 비율은 맬버른 대학 연구팀이 제시한 것과 상당히 차이가 난다.바로 여기에 문화적의 차이와 화가의 선호가 개입한다. 우리나라 초상화의 대부분이 오른손잡이 화가가 그림을 그렸기 때문이다. 우리 문화에서 오른쪽은 ... ...
- '사람은 먹고 벌레는 못 먹는' 배추 만든다과학동아 l1999년 12호
- 죽어그렇다면 우리나라 과학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을까. 성균관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유전공학 연구실의 권무식 교수와 연구원들이 미국을 따라잡겠다고 나섰다. 권무식 교수는, 오랜 기간 동안 미국에서의 연구생활을 통해, 미국에서 하는 것과 똑같은 것을 해서는 그들을 이길 수 없다고 ... ...
이전7817827837847857867877887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