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일어나고 있는지에 대해 작은 부분만을 얘기해줄 뿐이다.결국 어떤 조직의 세포에서
발견
되는 전사체(세포에서 만들어지는 mRNA의 총체)와 프로테옴(mRNA에 의해 만들어지는 모든 단백질)을 분석해야 생명현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암세포 등 생리활성이 정상세포와 다른 경우 전사체와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바퀴에 숨어있는 발전의 원리는 간단하다. 1831년에 패러데이가 코일과 자석을 이용해
발견
한 전자기유도가 바로 그것이다. 패러데이는 철심에 구리선을 감은 코일을 회로에 연결한 후, 막대자석을 코일 가까이에 가져가 보았다. 그러자 전류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바로 자기의 변화가 전기를 ... ...
비타민 C는 만병통치약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되지만, 일반적인 권장량의 수십배나 수백배를 대량으로 섭취할 경우 지금까지
발견
하지 못했던 강력한 약리작용이 있음을 주장했다. 그의 학설에 따르면 비타민 C는 인터페론(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의 세포에서 생성되는 단백질), 면역 글로블린, 부신피질 호르몬 등 바이러스나 세균의 침입에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시각 현상을 미리 염두에 두었을까?르네상스 시대의 첫 원근법르네상스 시대에 처음
발견
된 중앙투시 원근법(central perspective)은 보는 이의 시점을 재현대상으로부터 분리했다. 대상을 바라보는 사람, 곧 시각 주체의 의미를 분명히 인식하고 공간적 좌표를 정했다. 나무 한그루를 보면서도 ‘내가’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불리는 엔돌핀이 왕성하게 분비돼 걱정이나 스트레스를 줄여준다는 현상도
발견
했다. 체내 악성물질이 자리잡지 못하도록 몸에 존재하는 자연살해(NK)세포의 활동 영역이 넓어짐은 물론이다. 자주 웃는 사람은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나 스트레스를 이겨내는 힘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 ...
노우드 핸슨의
발견
의 유형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관련 저술을 남겼다. 대표적인 저서에‘양전자의 개념’(Concept of Positron),‘지각과
발견
’(Perception and Discovery), ‘관찰과 설명’(Observation and Explanation), ‘에세이 모음’(What I do Not Believe and Other Essays) 등이 있다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앞으로 나노과학은 얼마나 발전할까.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발견
한 나노물질은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노벨 물리학수상자인 리차드 파인만이 ‘바닥세계에 빈 공간이 많다’고 말한 것처럼 나노세계에는 아직 우리가 모르는 수많은 과학과 기술적 가치가 존재할 것이다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특히 예상보다 훨씬 적은 수의 인간 유전자가
발견
됐다는 사실은 특정 생명현상에서 작용하는 여러 단백질들 사이의 상호관계가 예상보다 훨씬 복잡하다는 사실을 암시한다 ... ...
대학입시의 새로운 변수 심층면접구술고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측면을 갖고 있다. 교과서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생활과 관련지어 살펴보면 그 중요성을
발견
하게 된다. 따라서 과학공부가 재미있어진다. 실생활에 응용된 사례를 파악하면서 무조건 원리를 외우는 일보다 원리 자체뿐만 아니라 도출이나 응용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거울은 ... ...
성인 당뇨병 관련 유전자 밝혀져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쥐들이 인슐린에 민감한 반응을 나타내면서 혈당 수치가 극도로 떨어져 죽는 사실을
발견
했다. 스테판 슈만 박사는 SHIP2 유전자가 인슐린에 대한 민감성을 조절하는 일종의 브레이크로 추정했다. 이 유전자가 없으면 인슐린이 무한정 분비돼 혈당 수치가 위험한 수준까지 떨어지게 되는 것이다.슈만 ... ...
이전
780
781
782
783
784
785
786
787
788
다음
공지사항